박철민 연세대 교수팀 연구···휴대용 디스플레이 등 적용 기대

생체정보를 감지하면서 시각화할 수 있는 얇고 유연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차세대 휴대용·차량용 디스플레이 등에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조무제)은 박철민 연세대 교수 연구팀이 디스플레이 자체에서 지문 등 전도를 띄는 인체 정보를 즉각적으로 감지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박철민 교수 연구팀은 사용자 정보의 직접적인 시각적 센싱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새로운 발광, 절연소재, 전극·소자 구조를 설계하고 개발했다.

특히 터치, 피부 무늬, 음성 등 인체 정보의 직접적 시각화를 통한 감지가 가능한 OLEB(유기발광보드)를 개발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촉각·전도성 반응형 스마트 센서, 이러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교류 전계 기반 고감도 발광 소자 기술을 구현했다.

현재 사용되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기반 디스플레이는 센서와 디스플레이가 분리되어 있는 반면 이번에 개발된 OLEB는 하나의 장치가 센서와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담당한다.

따라서 전기적인 신호 처리 구조가 단순해져 디스플레이 크기가 머리카락의 100분의 1 두께인 500 나노미터로 얇아졌고, 유연해졌다. 또한 제작 공정 과정이 줄어들기 때문에 공정비용도 줄일 수 있게 됐다.

박철민 교수는 "지문과 같은 전도를 띄는 생체정보를 감지하면서 동시에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개발한 것"이라며 "향후 디스플레이 관련 추가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휴대용·차량용 디스플레이, 광고용 스마트 윈도우 등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으며, 연구결과는 국제적인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달 13일자에 게재됐다.

유기발광 보드의 구조와 구동원리 및 기본 성능.<자료=한국연구재단 제공>
유기발광 보드의 구조와 구동원리 및 기본 성능.<자료=한국연구재단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