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덕성 충대 부총장 "최고 인재가 몰리면, 기업은 온다"
17일 '대덕특구 발전방향·과제' 정책토론회서 조언

"좋은 기업이 있는 곳에 인재가 몰리는 시대는 지났다. 최고 수준의 인재가 양성되는 도시에 가장 좋은 기업이 만들어진다."

마이클 블룸버그 뉴욕시장이 2011년 '응용과학 뉴욕 프로젝트'를 선언하면서 한 말이다. 지금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바탕으로 국가적 정책목표인 '창조경제 실현'의 전진기지화를 꿈꾸는 대전시가 유념해야 할 내용이기도 하다.

오덕성 충남대 부총장은 17일 오후 '지속기능한 대덕특구의 발전 방향과 과제'를 주제로 UST 사이언스홀에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고급기술 인력 기반의 지역 혁신과 미래 신산업 육성 전략을 택한 블룸버그 뉴욕시장의 사례를 언급하며 '누구나 살고 싶어하는 정주여건 마련'을 최우선 과제로 조언했다.

오덕성 충남대 부총장이 17일 UST 사이언스홀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대덕특구 발전방향과 과제' 토론회에서 주제발표하고 있다. <사진=최동진 기자>
오덕성 충남대 부총장이 17일 UST 사이언스홀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대덕특구 발전방향과 과제' 토론회에서 주제발표하고 있다. <사진=최동진 기자>
오 부총장은 정주여건을 ▲물리환경적 조건 ▲문화 중심 커뮤니티 조건 ▲경제적 지속가능성에 입각해 소개했다. 물리환경 조건의 예로는 프랑스 소피아앙티폴리스, 일본 츠쿠바, 독일 림즈를 언급했다.

그는 "앞선 사례들은 전원도시 기반의 과학·연구도시다. 림즈의 경우 녹지 비율을 절대적으로 확충해 쾌적성을 높였다"면서 "하지만 대덕은 환경측면에서 거꾸로 가고 있다. 38%에 달했던 녹지가 각종 개발에 밀려 10% 이상 줄었다"고 꼬집었다.

고층고밀 개발 정책이 확대되면서 녹지 잠식이 이어지고, 결국 거주 쾌적성이 떨어졌다는 지적이다. 이는 또 세계적 추세인 저탄소녹색도시 방향에도 역행한다.

문화역사 환경에 대해서는 ▲스페인 바로셀로나 ▲독일 도르트문트 사례를 소개했고, 경제적 지속가능성 사례로는 ▲말레이시아의 멀티미디어 슈퍼코리도 ▲대만 신추과학단지 ▲미국 리서치트라이앵글을 들었다.

멀티미디어 슈퍼코리도는 쿠알라룸프와 푸트라자야, 사이버자야를 연계한 광역클러스터다. 싱가폴과 인도네시아와의 협력 강구를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을 만들었다. 대만 신추과학단지는 테크노폴리스형 과학단지를 모토로 개발되면서, 3개 언어를 가르치는 교육기관을 유도해 외국인 과학자들의 발길을 잡으면서 실리콘밸리를 복제한 최고의 성공작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오 부총장은 "대덕의 녹지율과 환경 쾌적성 저하는 이곳 구성원인 과학자들은 물론 대전시의 책임이다. 확고한 철학에 기초한 큰 그림과 적극적인 참여가 없었기 때문에 개인적 이익에 따라 운영된 결과"라고 질타했다.

대덕연구개발특구 조성 초기에는 정부가 철저하게 관리하고 대전시가 협조했지만, 지금은 대전시와 유성구가 관리하면서 고밀도·고층 난개발이 됐다는 분석이다.

그러면서 '협력적 거버넌스'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대전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소기업 유치에 적극적이다. 하지만 지역 혁신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총체적 구조와 대덕특구 내 연구소, 기관 간 협력에서 진일보한 협력적 거버넌스를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IBS와 중이온가속기, 사이언스파크 건립 등은 새로운 기회다. 모든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쾌적한 정주환경과 외국인들이 올 수 있는 교육여건 마련은 대전시는 물론 이곳 구성원들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17일 UST 사이언스홀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대덕특구 발전방향과 과제' 토론회 모습. <사진=최동진 기자>
17일 UST 사이언스홀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대덕특구 발전방향과 과제' 토론회 모습. <사진=최동진 기자>

◆대전시 "언어·인종·문화 장벽 없는 정주시스템 만들겠다"

주제발표에 이어 토론이 진행됐다. 지정토론자들은 물론 플로어를 메운 원로과학자들은 오 부총장이 지적한 '철학 부재'와 '난개발'에 대해 깊은 공감을 표했다.

이정순 과학기술연우연합회 수석부회장은 "그동안 작은 현안에 대해서만 목소리를 냈던 것이 사실"이라며 "보다 큰 그림을 그리고 대덕특구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자. 하지만 과학자들만이 그 혜택을 받고자 해서는 안된다"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이용구 대전시 과학특구과장은 "대덕은 대전의 외딴 섬이란 이야기가 많이 나왔다. 그 원인은 대전시가 40년 동안 방관한 것 아닌가 하는 반성과 대안 고민이 있다"면서 "대전시는 대덕특구를 시민화하겠다고 표현할 정도로 일반 시민들과 가깝게 지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 "대덕특구가 대한민국 창조경제의 허브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창업-기업성장-지역환원 선순환적 생태계 조성과 관련 기반시설 확충 등이 중요하다"면서 "신동·둔곡지구 일원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에 맞춰 국제적 정주환경을 조성하겠다. 외국인 과학자와 가족들의 안정적 생활을 위해 언어·인종·문화 장벽 없는 정주시스템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상봉 화학연 연구발전협의회장은 과학기술인에 대한 대우를 거론했다. 이상봉 협의회장은 "올림픽, 엑스포박람회, 월드컵 등의 국제적 행사를 유치하면서 대전, 특히 대덕단지 여건이 발전했다"면서도 "그러나 지속가능하지는 않아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어 우수 인재를 대덕에 모으기 위해서는 ▲출연연 미션 변경과 미션 중심 평가제도 도입 ▲정년 환원 ▲사학연금 수준의 연금보장 등을 주문했다.

이 문제와 관련해서는 김성태 미래부 과학기술진흥과장이 답했다.

김성태 과장은 ▲과학기술인 복지에 관한 법적 기반 마련 ▲과학기술인 연금 확충 ▲과학기술인 복지시설 건립사업 등 현재 미래부가 고민 중인 복지정책 방향을 소개하고 "오늘 와서 대덕 현장 곳곳을 둘러봤다. 수준높은 커뮤니티 환경 구축을 위해 많은 이야기를 듣겠다"고 밝혔다.

17일 UST 사이언스홀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대덕특구 발전방향과 과제' 토론회 모습. <사진=최동진 기자>
17일 UST 사이언스홀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대덕특구 발전방향과 과제' 토론회 모습. <사진=최동진 기자>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