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EP '핵심과학기술인의 성과선행지수 개발, 적용 및 시사점' 발간

"30대 과학기술인들의 연구에 대한 내적, 외적 동기지수가 가장 낮다." KISTEP(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원장 이준승)은 처음 개발한 자체 성과선행지수(STPLI, S&T Performance Leading Index)를 활용, 직무에 대한 종사자의 동기부여를 측정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KISTEP이 최근 발간한 '핵심과학기술인의 성과선행지수(STPLI) 개발, 적용 및 시사점'에 담긴 내용이다. STPLI는 연구분야 등 직무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내재적 동기지수와 비직무적 요인으로 구성된 외생적 동기지수를 통해 종사자의 동기부여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STPLI가 높을수록 동기부여가 잘 돼 조직 몰입도와 직무 몰입도가 증가하고 궁극적으로 성과로 이어진다. KISTEP에 따르면 기존에는 하드웨어적 연구환경(연구비, 연구장비, 인센티브 등 직무와 직접적 관련이 적은 요소)과 경제적 처우에 치중해 연구원들의 동기부여 정도를 평가했다면 이번에 개발한 STPLI는 직무 이외의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자발적이고 내재적인 동기부여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했다.

STPLI를 이공계 박사(1478명)와 기술사(1410명) 등 핵심과학기술인 총 2888명을 대상으로 적용해 분석한 결과, 1000점 기준으로 성과선행지수는 0.493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며, 직무와 관련된 내재적 동기지수가(0.419) 직무 이외의 외생적 동기지수(0.566)보다 월등히 낮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이제 막 자신의 연구를 시작하는 30대 연구진의 동기부여가 가장 절실한 상황. STPLI는 물론이고, 내재적 동기지수, 외생적 동기지수 등 모든 지수에서 30대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분야 등 직무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내재적 동기지수도 공공연구소가 대학과 기업에 비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재적 동기지수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 연구 자율성이 낮은 그룹은 30대, 석사, 공학 전공자, 공공연구소, 전일제 비정규직인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책임자인 KISTEP 김진용 부연구위원은 "이번 연구는 연구환경의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해 동기부여 이론을 기반으로 성과를 사전에 예측해 볼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핵심 과학기술 인재들의 자발적인 동기 부여를 위해서는 경제적 처우, 연구장비 등 외적인 처우개선 보다도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연구 몰입 환경 조성과 같은 내재적 동기부여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