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부터 에이즈까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이런 바이러스도 똑똑하고 멍청한 게 있다. 숙주에 기생해 살아야 하는 바이러스의 '숙명' 때문이다. 에이즈 바이러스와 에볼라 바이러스가 그 일례. 1981년 발견됐을 때만해도 에이즈 바이러스 감염자 대부분은 죽었다.

하지만 현재 감염자의 수명은 5~10년으로 늘었다. 약만 잘 먹으면 만성질환에 가깝다는 평도 나온다. 숙주와의 '공존'을 택한 것이다. 반면 에볼라 바이러스는 반대의 길을 걸었다.

1976년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이 바이러스는 너무나도 강력해 감염된 숙주를 1주일 안에 사지로 몰았다. 그 결과, 에볼라 바이러스 역시 사멸해 버렸다. 멕시코에서 처음 발견된 '신종 인플루엔자A(H1N1)' 바이러스는 어떨까. 이 바이러스는 불과 며칠 안에 1000여명이 넘는 사람을 감염시켰으며 그 중 150명이 넘는 사람의 목숨을 앗아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종 인플루엔자A(H1N1)에 대한 경계를 5단계로 높였다. 인플루엔자 대유행은 총 6단계로 구분되며, 단계가 올라갈수록 위험성이 커지는데 5단계는 '세계적 대유행 임박'했다는 뜻이다.
 

▲신종 인플루엔자A (H1N1). ⓒ2009 HelloDD.com
신종 인플루엔자A(H1N1)형은 특히 종간 변이를 일으켜 변종이 발생하고, 신종 바이러스라서 아직까지 특효약도 없는 상태다. 또한 인간끼리 감염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3가지 '대유행'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 크게 걱정할 정도는 아니라는 의견도 많다. 멕시코를 제외한 지역에서 환자가 사망한 사례는 아직까지 미국에서 2명뿐이다. 과거 사스의 치사율은 9%, 스페인 독감은 2.5%에 달했으니 보통 독감 수준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다만, 바이러스는 언제든 변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세계는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신종 바이러스가 나타나면 백신을 만드는 데만 수개월이 걸리기 때문이다.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갑자기 치사율이 높아질 경우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바이러스 공포'를 되새긴 신종 인플루엔자A(H1N1)는 양돈업계에도 큰 타격을 주었다. 신종 인플루엔자A(H1N1)의 초기 이름인 '돼지인플루엔자'라는 명칭이 불안 심리를 크게 높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불에 구워 먹는 삼겹살은 안전하다고 보고 있다. 이는 신종 인플루엔자A가 돼지의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 것이며 음식물에 의해 전파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신종 인플루엔자A(H1N1)는 주로 목과 코, 입 등 호흡기 상부에 자리를 잡는다. 사람들이 즐겨 먹는 삼겹살에는 바이러스가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는 것. 설사 바이러스가 있다 하더라도 71도 이상 가열하면 죽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국제공항에서 해외에서 들어오는 사람 들을 적외선 체열감지기로 측정, 높은 열이 발병 하는 사람은 검역관의 별도 검진을 받게하고 있다. ⓒ2009 HelloDD.com

신종 인플루엔자A(H1N1)에 대한 불안은 삼겹살 값 폭락에 이어 독감 치료제인 '타미플루' 품귀 현상도 낳고 있다. 그러나 타미플루는 신종 인플루엔자A(H1N1)를 치료할 수 있는 완벽한 약이라 볼 수 없다.

건강한 사람이 타미플루를 미리 먹는다고 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생기는 것도 아니다. 타미플루는 이미 몸 안에 침입한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약이기 때문이다. 몸 안에 바이러스가 없으면 약은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하고 복용한지 하루 만에 소변으로 배출된다.

오히려 소화 장애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또 약을 많이 먹을수록 내성이 생기기 때문에 불필요한 남용은 자제해야 한다. 바이러스는 꾸준히 인류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1918년 스페인 독감은 당시 전 세계 인구의 20~40%를 감염시켰고, 이 가운데 4,000만~5,000만 명이 목숨을 잃었다. 1957년 중국에서 발견된 아시아 독감으로 200만 명, 1968년 홍콩독감으로 100만 명이 사망했다.

2000년대 이후에도 바이러스의 활동은 왕성하다. 2002년 호흡기질환인 사스는 800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2003년 이후 15개국에선 257명이 조류독감에 걸려 사망했다. 아직까지 인류는 감기를 완벽히 치료하는 약조차 만들어 내지 못 했다.

제초제를 뿌리면 내성을 가진 잡초가 생겨 더 많은 제초제를 뿌려야하는 것처럼, 바이러스도 백신을 이겨낼 수 있도록 끊임없이 진화하기 때문이다. "바이러스가 인류보다 똑똑하다"는 평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 Kisti의 과학향기에서 제공하는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Kisti의 동의 없이 과학향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배포 등을 금합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