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화학적 도핑 이용한 광다이오드 자유로운 색 조절 확인

포스텍이 활성층의 공핍 영역 너비만 제어해 색 선택성을 가지는 박막형 OPD를 구현했다. <사진=포스텍 제공>
포스텍이 활성층의 공핍 영역 너비만 제어해 색 선택성을 가지는 박막형 OPD를 구현했다. <사진=포스텍 제공>
두꺼운 포토다이오드에서만 다양한 색 구현이 가능했던 한계를 극복할 기술이 개발됐다. 시장에서 선호하는 얇은 화면에 자유롭게 색을 재현하는 OPD 광센서개발이 가능해 질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POSTECH, 총장 김무환)은 정대수 화학공학과 교수팀이 정확하고 간편한 접합기술로 박막형 유기 포토다이오드를 구현해냈다고 15일 밝혔다. 

포토다이오드는 빛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센서다. 응답속도가 빠르고 색 대응 파장대의 조절이 가능해 컬러필터 없이 색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보고된 색조절은 대부분 포토다이오드를 두껍게 만들어 광 왜곡을 일으켰다. 작고 얇은 화면을 선호하는 요즘 기술추세와는 맞지 않았다. 

연구팀은 활성층의 전체 두께가 아닌 공핍 영역 너비(폭)만 제어해 색 선택성을 가지는 박막형 OPD를 구현했다. 전자 당김 특성이 강한 유기 소재를 반도체에 도핑시킴으로써 광 전하가 분리될 수 있는 영역을 정교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유기 포토다이오드는 얇고, 색 대응 파장대의 조절이 가능해 실리콘 포토다이오드를 대체하고 있다. 하지만 유기 포토다이오드의 두께를 얇게 유지하면서도 색 대응 파장대를 동시에 조절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한 사례는 이제껏 없었다. 

연구 관계자는 "포토다이오드의 색 대응 파장대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한 최초의 사례로, 박막형 컬러필터 프리 광센서를 구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기존의 좁은 대역에서의 빛 감지 전략과 달리 자유롭게 빛의 파장대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차별점"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내용은 영국왕립화학회가 발행하는 재료분야 학술지 '머티리얼스 호라이즌스'에 최근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