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저장시설 차례로 포화될 것으로 나타나
정필모 의원 "원전과 관련된 모든 정부부처 논의해야"

현재 가동 중인 원자력발전소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이 10년 뒤 순차적으로 포화상태에 도달해 사용후핵연료 대란이 우련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4일 정필모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30년 포화될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에 대한 처리 방안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사용후핵연료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전력 생산을 위해 연료로 사용되고 난 후 원자로에서 인출된 핵연료를 말한다. 

한국수력원자력(원장 정재훈)이 정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한빛 원전은 2029년, 한울원전 2030년, 고리원전이 2031년에 순차적으로 저장시설이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나타났다. 

정필모 의원은 "월성원전(2042년)과 새울원전(2065년)을 제외하면 10년 내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는 현실화된다"며 "사용후핵연료 처리 저장률이 거의 포화에 이르렀을 때 논의를 시작하면 완공 시기도 늦어지고 지역갈등 등 쟁점 사항에 대한 충분한 논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까지 저장용량 포화에 따른 추가 시설 설치를 확정한 것은 월성원전 하나뿐이다. 중수로인 월성원전은 현재 사용후핵연료 저장률 93.5%에 이름에 따라 포화 시점인 2022년 3월 완공을 목표로 백스터 설치를 계획 중이다.

한수원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백스터 건설을 확정한 월성 원전을 제외하고 현재 저장률이 가장 높은 원전은 한울 원전으로 84.1%를 기록하고 있다. 뒤를 이어 고리원전 80.6%, 한빛원전이 71.4%이었다. 저장시설 포화 예상 시점이 2042년인 월성원전은 49.7%, 2065년인 새울원전은 12.6%의 저장률을 보이고 있다.

정 의원은 "적극적 대처가 없다면 앞으로 10년 뒤 사용후핵연료 처리 대란이 명약관화하다"라면서 "산업부, 한수원, 과기부, 원안위 등 원전 설치와 운영 등에 관련된 모든 정부부처가 중간저장시설 건설 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