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독자기술 개발 소재 '나노린' 활용

윤준보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이 독자기술로 개발한 나노소재 '나노린'을 통해 상시 동작이 가능한 초저전력 유해가스 감지센서를 개발했다.<사진=KAIST 제공>
윤준보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이 독자기술로 개발한 나노소재 '나노린'을 통해 상시 동작이 가능한 초저전력 유해가스 감지센서를 개발했다.<사진=KAIST 제공>
적은 전력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유해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개발됐다. 일산화탄소 등 유해가스에 의한 안타까운 인명사고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IST(총장 신성철)는 윤준보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이 독자기술로 개발한 나노소재 '나노린'을 통해 상시 동작이 가능한 초저전력 유해가스 감지센서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소형화와 생산단가가 저렴해 주목받았던 기존 금속산화물 기반 가스센서는 수백 ℃ 내외의 고온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히터를 통한 열에너지 공급이 필수적이다. 주변으로 방출되는 열이 많고 전력소비가 높아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 적용가능한 실시간 가스 센서를 개발하기 쉽지 않았다.

윤 교수팀은 나노린을 활용해 기존의 나노 소재 제작 방법과는 다른, 일반적인 반도체 공정을 기반으로 제작해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나노린을 초 저전력 나노 히터에 활용한 시험과정에서 나노 소재가 지닌 고유의 열 고립 효과를 통해 기존 마이크로히터의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는 초 저전력 고온 구동을 실현하는 데 성공했다. 또 나노 히터에 완벽하게 정렬된 형태의 금속산화물 나노와이어를 일체형으로 집적해 가스 센서로 응용함으로써 스마트폰 내장에 적합한 수준의 낮은 소비 전력으로 일산화탄소 가스 검출에 성공했다.

제1 저자인 최광욱 박사는 "휴대용기기에 내장하기 적합한 초 저전력 가스 센서 기술"이라면서 "이 기술이 가스 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고 인명 사고를 막는 데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 8월 12일자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왼쪽부터) 윤준보 교수, 최광욱 박사, 조민승 박사과정<사진=KAIST 제공>
(왼쪽부터) 윤준보 교수, 최광욱 박사, 조민승 박사과정<사진=KAIST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