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연속준위속박상태' 생성원리 밝혀
고효율 나노레이저·양자암호통신개발 활용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소장 박지웅)는 광결정 내에서 빛을 머리카락크기의 1000분의 1보다 작은 공간에 거의 영원히 가두는 '연속준위속박상태' 생성원리를 이론적으로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고효율 나노레이저와 양자암호통신개발 등 활용이 기대된다.

광결정을 이용한 연속준위속박상태에 대한 연구는 많이 되어 왔지만 연속준위속박상태형성에 대한 이론적 모델은 제시되지 않았다. 특히 체계적인 이론적 탐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속준위속박상태를 구현하는 광결정구조의 설계와 이를 이용한 광결정 광소자 응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GIST 연구팀이 광결정 내에서 빛을 머리카락크기의 1000분의 1보다 작은 공간에 거의 영원히 가두는 '연속준위속박상태' 생성원리를 이론적으로 규명했다.<사진=GIST 제공>
GIST 연구팀이 광결정 내에서 빛을 머리카락크기의 1000분의 1보다 작은 공간에 거의 영원히 가두는 '연속준위속박상태' 생성원리를 이론적으로 규명했다.<사진=GIST 제공>
연구팀은 박막도파로 광결정에서 서로 다른 도파모드들의 결합에 의해 연속준위속박상태가 생성됨을 이론적 모델로 규명했다. 서로 같은 대칭성을 갖는 모드들 간의 소멸간섭에 의해 연속준위속박상태가 생성되고, 서로 다른 대칭성을 갖는 모드들 간의 불완전한 소멸간섭에 의해 박막 위 혹은 아랫방향으로만 빛이 방출되는 현상도 발견했다. 

연구를 주도한 이성구 연구원과 기철식 수석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는 광결정에서 연속준위속박상태 생성원리에 대한 물리적 이해와 이론적 모델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면서 "향후 이론적 모델이 연속준위속박상태를 이용한 광결정 나노레이저, 고감도광센서, 양자암호통신기술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내용은 Nanophotonics 온라인에 지난 8월 3일자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