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지원연·원자력연·IBS·포항가속기 등 내부 의견 교환
전문가들 "기관 경쟁보다 협력, 가속기 건설 오류 막을 수 있어"

충북 청주 오창에 들어서는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구축과 운영권을 확보하기 위한 물밑 작업도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거론되는 기관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 IBS, 포항가속기연구소 등이다.

방사광가속기는 가장 가벼운 전자를 가속시켜 빛을 이용해 원자, 분자 수준의 근원적 구조를 관찰하는 장비다. 산업과 연구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다.

오창에 들어서는 다목적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전자를 4GeV(40억 전자볼트)로 가속한다. 최종 40~60개의 빔라인이 설치될 예정이다. 신종플루 치료제 타미플루도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해 개발한 것으로 기초연구 분야와 산업계에서 거는 기대가 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5월 14일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한 상태다. 정부는 일본의 소재·부품·장비 수출규제로 방사광가속기 건설을 적극 추진한 상황인 만큼 올해 안에 예타 조사를 마치고 상세설계 등 구축과 운영 주관기관 공모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구축과 운영권을 확보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는 정부출연연구기관도 속속 확인된다. 우선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과 운영을 통해 기관의 역할을 새롭게 만들겠다는 의지다.

신형식 원장은 18일 대덕특구기자단과 간담회를 갖고 "기초지원연이 그동안 연구장비를 통한 분석서비스에 주력해 왔다. 하지만 이젠 민간 분석업체들도 많아졌다"면서 "또 대학과 연구기관이 자체적으로 장비를 구입해 지원이 많이 줄었다. 앞으로 장비가 아닌 시설로 과학과 기술 발전을 위한 새로운 역할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 원장에 의하면 기초지원연은  부산에 설치된 28㎓급 초전도 ECR(전자사이클로트론) 이온원 장치를 개발한 경험과 포항가속기연구소(PAL)에 빔 라인도 설치해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신 원장은  "기초지원연은 가속기 구축 경험은 없지만 그동안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인 엔펙(NFEC)을 통한 분석지원 등 운영 경험이 강점"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 참여가능성을 논의 중임이 확인됐다. 원자력연은 2010년 12월 100MeV(메가일렉트론볼트, 백만전자볼트) 가속장치 제작과 기초시험 완료 등 경주양성자가속기 건설과 운영 경험을 갖고 있다. 과기부는 로드맵을 통해 경주양성자가속기를 200MeV까지 업그레이드 할 계획을 밝힌바 있다.

원자력연 관계자는 "우리는 이미 경주에 양성자가속기를 건설하고 운영한 경험도 있다"면서 "하지만 가속기는 거대시설이다. 어느 기관 혼자하기는 무리가 있다. 기관이 아니라 전문가들이 참여해 방사광가속기 구축과 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중이온가속기 건설을 맡고 있는 IBS도 내부적으로 참여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 면 중이온가속기사업단장은 "아직 구체적으로 논의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가속기 구축 프로젝트는 많은 경험이 요구된다"면서 "새로운 조직, 기관을 떠나 경험있는 전문가 그룹이 처음부터 참여하면 건설 오류나 잘못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중이온가속기 건설이 급선무다. 코로나19로 부품 조달 등 전체적으로 조금씩 늦어지면서 예정기일도 영향을 받고 있다. 전체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면서 "중이온가속기 건설이 마무리되면 그동안 경험을 바탕으로 협력하며 도울 부분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포항가속기연구소 역시 가속기 건설과 운영 경험을 갖고 있다. 1994년 포항방사광가속기 구축을 완료하고 선형가속장치와 저장링, 35개의 빔라인을 갖췄다. 2013년부터 4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공사를 시작 2015년 12월에 구축사업을 완료한 상태다. 포항가속기연구소는 구축과 운영 경험으로 참여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한편 다목적방사광가속기는 충북 청주시 오창 후기리 테크노폴리스 부지에 들어서게 된다. 약 54만㎡(약 16만평) 부지에 국비 8000억원을 포함해 총 1조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과기부는  2022년 이전에 구축에 착수하고 늦어도 28년에는 운영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