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6일 오창과 나주로 압축···7일 현장 답사 후 8일 발표
올해 내 예타 후 22년 착수, 27년 완공 예정
오창-접근성과 연구·산업 인프라 vs 나주-지역균형발전 강조

'꿈의 빛' 4세대 방사광가속기 입지 발표가 코 앞으로 다가왔다. 유치의향서를 낸 지방자치단체들의 막판 유치경쟁 속에서 정부는 6일 오창과 나주로 압축했다. 충북과 전남의 2파전이 예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일 대전인터시티호텔에서 충북 오창, 전남 나주, 경북 포항, 강원 춘천 등 유치의향서를 제출한 지자체를 대상으로 발표평가를 갖고 2곳을 우선 선정했다. 7일 현장 방문 후 8일 방사광가속기 입지를 최종 발표한다. 부지가 결정되면 올해 안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하고 2022년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방사광가속기는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해 태양빛의 1000억배 밝은 빛(방사광)을 발생시켜 미세한 원자, 분자 수준의 근원적 구조를 규명할 수 있다. 방사광이 적외선에서 가시광선, 자외선, X-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연구자는 미세한 물질의 특징을 분석하는 목적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초과학뿐만 아니라 방사광가속기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신소재 및 금속, 단백질 구조분석을 통한 신약개발에 이르기까지 활용도가 높은 연구시설로 손꼽힌다. 특히 산업화로 직접 연계되며 각 지자체마다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지난 3월에 열린 '제9회 심의회의'를 통해 '대형가속기 장기로드맵 및 운영전략(안)'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지난해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로 구축 요구 목소리가 커지면서 본격화 됐다.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사업은 1조원(국비 8000억원, 지자체 2000억원 상당 부지제공)이 투입된다. 2022년부터 2027년까지 6년에 걸친 사업이다. 가속기 형태는 원형 방사광가속기로 둘레 800m, 유용면적 총 26만m²에 이른다. 

해외에서는 미국, 중국, 프랑스, 스웨덴, 브라질이 4세대 원형 방사광가속기를 보유하고 있다. 일본과 미국, 영국이 업그레이드를 계획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통한 기초연구와 산업연계가 더욱 활발할 전망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각국도생이 강조되며 시설 구축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4세대 방사광가속기 유치전에 는 뛰어든 각 지자체마다 강점을 내세우며 경쟁이 치열하다. 과열된 양상에 과학계에서는 "정치적, 지역적 논리가 아닌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입지 선정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 충북 오창 vs 전남 나주 vs 경북 포항 vs 강원 춘천 지자체마다 강점 내세워

2파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충북 오창, 전남 나주 중 4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 최적지는 어디일까.

유치에 뛰어든 지자체는 주말과 어린이날 휴일도 반납하고 총력전을 펼치는 모양새다. 오창은 접근성과 기존 연구시설과 연계, 나주는 기존 산업과 지역균형발전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최적지임을 강조하고 있어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 

충북은 최대 바이오 클러스터와 대덕연구단지,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마스터 플랜을 연계해 국가혁신 성장을 앞당길 수 있다는 전략으로 유치에 나섰다. 특히 입지로 예상되는 청주시 청원구 오창일원은 화학암반층으로 지질 안정성, 접근성, 입지 등 요건을 두루 갖췄다는 것.

충북도가 내놓은 용지는 청주시 청원구 오창테크노폴리스일반산업단지. 이 단지 중 절반정도인 53만9000㎡에 원형 방사광 가속기를 2025년까지 구축하겠다는 안이다. 60개 빔라인, 세계 최고 수준의 4GeV급 규모, 연 1만명 이상 연구 수행 등이 가능한 차세대 방사광 가속기를 설치하겠다는 것이다.

이시종 지사는 "오창은 수도권과 중부권의 활용산업 집적도, 대덕연구단지와 연구개발(R&D) 여건 우수성, 전국에서의 접근성을 두루 갖췄다"면서 "세계 3대 바이오 클러스터인 오송생명과학단지와 첨단 기술의 '바이오헬스 집적지'로 국가 혁신성장 생태계를 실현할 키 플레이어 역할이 할 수 있다"며 오창 유치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충북 오창의 방사광가속기 유치 도전은 이번이 두번째다. 2008년에도 직접 설치를 제안해 유치전에 나서기도 했다. 충북도는 이번 유치 성공을 위해 민관정이 똘똘 뭉쳐 나서고 있다.

전남 나주 유치를 위해 김영록 전남지사는 나주에 위치한 광주·전남 빛가람혁신도시 일원을 방사광가속기 조성 지역으로 선정했다. 광주·전남 빛가람혁신도시는 조성 5년 만에 430개 기업이 들어섰다. 특히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와 에너지신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며 방사광가속기 입지 최적지라는게 전남의 입장이다.

또 방사광가속기 건립예정부지는 혁신도시와 인접해 있고 150만명의 광주시와 공동생활원으로 생활, 교육, 의료 등 인프라도 우수하다. 김 지사는 언론 인터뷰를 통해 "호남권 국가대형연구시설 유치를 위한 지난 10년간의 노력이 드디어 결실을 맺을 때가 됐다"며 "반드시 유치에 성공해 국가 과학기술 백년대계를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이외에 경북 포항은 기존 포항 방사광가속기와 연계성으로 사업비와 기간 단축, 인프라와 전문 인력을 강점으로 유치에 나섰다. POSTECH(포항공대) 안에는 3·4 세대 방사광가속기와 산업기술융합센터, 연구동 등 19개의 시설이 밀집해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포항은 신약개발 등 실질적으로 가속기를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춰 1000억원 이상 사업비를 절감하고 사업기간도 1년정도 단축할 수 있다며 포항의 장점을 들기도 했다.

뒤늦게 뛰어 든 강원도는 방사광 농업과 관광업 중심의 강원도가 가속기 유치를 통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강원도는 수도권에서 가까운 접근성을 잇점을 내세웠다. 또 방사광가속기 유치를 통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춘천시를 가속기 혁신도시로 만들겠다는 방안도 피력한 바 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방사광가속기가의 생산유발 효과는 6조7000억원, 고용창출 13만7000명에 이른다.

과학계 현장에서는 "지자체 유치가 과열되고 있어 우려된다"면서 "과학기술 발전 논리가 아닌 정치적, 지역적 논리는 안정적 연구 환경을 저해하고 현장의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 궁극으로 과학기술 발전 논리로 입지를 선정해야 한다. 그런면에서 오창이 가장 적합하다고 본다"며 조심스럽게 말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