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아리안-5 발사체에 실려 성공적으로 발사
위성 개발 연구자, 발사체로부터 위성 분리하자 환호

천리안 2B호는 이날 오전 7시 18분(한국 시각) 남미 기아나(Guiana) 우주센터에서 프랑스 아리안스페이스(Arianespace) 발사체인 '아리안-5ECA'에 실려 발사됐다. 발사 10초 전의 모습. <사진=김인한 기자>
천리안 2B호는 이날 오전 7시 18분(한국 시각) 남미 기아나(Guiana) 우주센터에서 프랑스 아리안스페이스(Arianespace) 발사체인 '아리안-5ECA'에 실려 발사됐다. 발사 10초 전의 모습. <사진=김인한 기자>

발사를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자들. <사진=김인한 기자>
발사를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자들. <사진=김인한 기자>

천리안 2B호가 아리안-5 발사체로부터 분리되자, 연구자들이 환호하고 있다. <사진=김인한 기자>
천리안 2B호가 아리안-5 발사체로부터 분리되자, 연구자들이 환호하고 있다. <사진=김인한 기자>
19일 오전 7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종합관제실. 천리안위성 2B호를 직접 개발한 연구자들은 아무말 없이 관제실 대형 모니터만 바라봤다. 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될 때도 분위기는 차분했다. 그로부터 몇 분 뒤, 연구자들은 자신들이 개발한 위성이 발사체로부터 정상 분리되자 환호했다. 이어 위성이 지상국과 교신에 성공한 시점에는 밝은 표정으로 서로 축하 인사를 나눴다.

천리안 2B호는 이날 오전 7시 18분(한국 시각) 남미 기아나(Guiana) 우주센터에서 프랑스 아리안스페이스(Arianespace) 발사체인 '아리안-5ECA'에 실려 발사됐다. 발사 31분 후, 위성은 고도 약 1630km 지점에서 발사체로부터 정상 분리됐고, 이어 약 6분 뒤인 오전 7시 55분 호주 야사라가(Yatharagga)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도 성공했다.  

정대원 항우연 위성운영부장은 "항우연이 처음으로 해양·환경 탑재체를 정지궤도에 올리게 돼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지상국과의 교신을 통해 천리안 2B호의 본체 시스템 등 전반적인 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했다"면서 "발사체를 통해 도달하려는 목표 전이궤도에도 성공적으로 안착한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천리안 2B호는 대기·해양환경을 관측하는 임무를 맡는다. 이를 위해 지구로부터 약 3만6000km 떨어진 상공에서 미세먼지 이동과 적조·녹조·오염 등을 관측할 예정이다. 고도 1000km 전후인 저궤도(LEO)와 달리 고도가 높은 특성을 살려 아시아 지역을 상시 관측한다는 게 항우연의 설명이다. 천리안 2B호는 천리안 1호에 비해 해상도 4배, 산출정보 2배, 자료전송속도 18배 등이 향상됐다. 

천리안 2B호는 약 2주간 5차례의 전이궤도 변경을 통해 최초 타원형 전이궤도에서 고도 3만6000km 정지궤도로 접근해 나갈 계획이다. 정지궤도 안착 후에는 보다 정확한 대기·해양환경 관측 정보들을 확보하기 위해 수개월간 궤도상 시험과정을 거치게 된다. 

항우연은 환경·해양 탑재체에 대한 영상 보정 등 위성시스템 조정을 통해 성능을 최적화한다는 방침이다. 탑재체로부터 정확한 최종 산출물을 만들어내기 위해 소프트웨어 조정 과정도 진행할 계획이다. 이러한 과정을 정상적으로 마무리하면 해양환경 정보는 2020년 10월부터, 대기환경 정보는 2021년부터 정상 서비스가 가능할 전망이다. 

박정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원장이 천리안 2B호 발사 성공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김인한 기자>
박정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원장이 천리안 2B호 발사 성공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김인한 기자>
박정주 항우연 부원장은 "10년 이상 독자 개발한 정지궤도 위성을 모두 성공적으로 발사하게 돼 기쁘다"라며 "저궤도 위성뿐만 아니라 정지궤도 위성 기술까지 확보하면서 위성 분야에서 입지를 다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임철호 항우연 원장은 "그동안 정지궤도위성 가운데 통신 위성은 대부분 외국에서 만들어서 운용해 왔다"며 "정지궤도위성에 대한 기본적인 설계 등을 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한 만큼 통신 위성이나 항법위성(KPS) 등을 국내에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향후 항우연은 미국(22년 이후 발사)과 유럽(23년 이후 발사)의 정지궤도 대기환경 관측 위성과 함께 전지구적 환경감시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에도 대기환경 정보를 제공해 국제사회의 환경 보존 노력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9일 오전 7시부터 위성종합관제실에서 발사를 생중계로 지켜봤다. <사진=김인한 기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9일 오전 7시부터 위성종합관제실에서 발사를 생중계로 지켜봤다. <사진=김인한 기자>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