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룡 고려대 차장, '지식재산과 혁신경제 포럼' 강연
창업할 학생과 사업화 전문가 양성, 생태계 구축 과제

"기술사업화 전담 인력과 행정 인력의 역할은 다르다. 자원과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전문성이 뒷받침돼야 한다. 그러려면 학습 경험을 공유하는 다양한 조직이 연결되어야 한다."

김지룡 고려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행정실 차장은 25일 지식재산과 혁신경제 포럼에서 기술사업화의 전문 인력을 강조했다. 기술거래사인 김 차장은 20여 년간 산학협력과 창업보육 관련 분야에서 일해왔다. 이날 포럼에서 그는 고려대의 산학협력의 변화 과정을 소개했다.

김 차장은 1997년 무렵 지식재산의 발굴과 보호 필요성을 느끼고 직무발명 규정을 벤치마킹 했다. 그 밖에도 실험실 대학원생의 역할, 지식재산화와 보호장치 미흡, 대학과 기업의 협동연구 계약 관련 문제점 등을 개선해왔다.

이후 고려대에는 1999년 중소기업청 기술이전센터가 들어섰고 2006년 교육부·산업자원부 선도 TLO 사업 등이 시작됐다. 김 차장은 기술사업화 전담직원 고용과 확대, 대학 간 정보공유와 협업 필요성 인지, 기술이전 건수와 금액의 확대, 기술지주회사 설립 등 결과를 얻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기술사업화 전담 인력은 목표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고 말했다.

여기서 나아가 성과관리자 교육, 캠퍼스 CEO 프로그램, 대학 스타트업 펀드 공동 조성 사업 등이 가동됐다. 특히 캠퍼스 CEO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기업가정신을 가르치는 고려대의 대표 창업교육 과정이다. 이 사업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13개 대학으로 퍼져나갔다.

김 차장은 "여러 사업을 기획하며 사람과 조직을 재발견했다"며 "지식재산과 기술을 이해하고 사업화를 실행할 수 있는 사람과 시스템적 사고를 갖춘 학습 조직이 필요하다. 기술사업화 인력과 조직은 교수·학생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실험실 창업을 하려면 여러 단계와 그에 맞는 인력이 필요한데 이것들이 생략되어 활성화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며 "법과 현실이 동떨어져 있기 때문에 산학협력이 여전히 기대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 차장은 스타트업을 만들 학생과 사업화 전문가 양성, 자생력 확보, 사업화 생태계 구축 등이 풀어야 할 숙제라고 밝혔다.

지식재산과 혁신경제 포럼이 25일 대덕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서 열렸다. 김지룡 차장에 이어 정성창 특허청 산업재산활용과장이 산학협력 20년의 주요 쟁점과 제도에 관해 발표했다. <사진=한효정 기자>
지식재산과 혁신경제 포럼이 25일 대덕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서 열렸다. 김지룡 차장에 이어 정성창 특허청 산업재산활용과장이 산학협력 20년의 주요 쟁점과 제도에 관해 발표했다. <사진=한효정 기자>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