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소재혁신본부 내년 초 출범···산학연 간 협업과 협력 강화

정부가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초·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 예산을 올해보다 2배 늘린 30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사진은 9일 오후 SK이노베이션 기술혁신연구원에서 열린 소재·부품·장비 R&D 현장 간담회.<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초·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 예산을 올해보다 2배 늘린 30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사진은 9일 오후 SK이노베이션 기술혁신연구원에서 열린 소재·부품·장비 R&D 현장 간담회.<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일본 수출규제 등 글로벌 소재 무기화 전략 가능성에 대응해 소재·부품·장비의 기초·원천 연구개발(R&D) 내년 예산을 올해보다 2배 늘리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소재·부품·장비의 기초·원천 R&D 예산을 올해 1600억원을 투입한데 이어 내년에는 3000억원 규모로 대폭 확대한다고 9일 밝혔다.

정부는 기초 연구 확대를 위해 소재·부품에 특화된 기초연구실 60여개를 지정,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주력 산업의 연구 저변 확대와 기초기술 확보에 집중할 방침이다.

기초연구 성과의 사업화도 본격 추진된다. 올해 7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나노·미래 소재 원천기술 개발 사업'에 내년부터 2032년까지 4004억원을 투입, 기초연구성과를 사업화로 연결키로 했다. 해외 의존도가 높은 소재의 대체 소재 원천 특허 확보를 위해 기존 25개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연구단 외에 3개의 연구단을 신규로 추가 선정할 계획이다.

또 방사광 가속기 기반의 반도체 검사용 극자외선 광원과 검사장비 개발에 115억원, 고도의 측정과 분석을 위한 연구 장비 국산화 기술 개발에 73억원을 투입해 추진한다.

기초·원천 R&D의 산학연 간 역할 분담과 연계 강화를 위해 소재혁신전략본부(가칭)도 내년 초에 출범한다. 이를 통해 산학연 간 협업채널을 강화하고 역할분담과 협력 강화로 성공모델을 만들어 갈 계획이다.

지원 방식도 차별화 된다. 기술 수준과 산업 성숙도를 비교해 산업이 미흡하면 기술선도형, 산업 경쟁력에 비해 기술 수준이 낮은 소재 분야는 경쟁형 연구개발 방식, 기술과 산업 경쟁력이 낮은 미개척 분야는 도전형 연구개발 방식을 도입해 지원한다.

소재·부품 연구개발 인프라 확충을 위해 향후 5년간 1700억원이 신규로 투자된다. 우선 소재연구 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450억원(20~25년), 반도체 공공 테스트베드 구축(19~22년)에 450억원을 지원해 연구결과와 시제품 실증을 지원한다.

시스템 반도체 설계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MPW(Multi-Project-Wafer) 공정 지원 체계 마련에도 오는 22년까지 450억원을 투입한다.

과기부는 반도체 소재·부품 테스트베드 구축을 위해 추경예산 241억원을 편성해 추진 중이다. 9월 중 연구단과 시설·장비 구축기관 선정을 마무리 할 계획이다. 소재·부품·장비 분야 연구관련 전문 인력도 대폭 확대(현재 PM1명 RB 33명 등 30여명에서 PM2명 RB 50명)할 계획이다.

문미옥 차관은 9일 SK이노베이션 기술혁신연구원을 찾아 대학, 출연연, 기업 관계자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초 원천 R&D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산학연의 적극적인 협업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