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송원호·이영수·이유한·최성환, 'Solve chem. together'팀
데이터 기반 예측 기술로 계산 비용 적은 AI로 대체 가능

세계 인공지능(AI)대회에서 우리나라 산학연 협력팀은 2749개팀이 참여한 가운데 3위의 성적을 거뒀다.<사진=KISTI>
세계 인공지능(AI)대회에서 우리나라 산학연 협력팀은 2749개팀이 참여한 가운데 3위의 성적을 거뒀다.<사진=KISTI>
세계 인공지능(AI) 대회에서 한국의 산학연 연합팀이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은 최성환 KISTI 박사와 이유한 KAIST 박사과정생 등이 참여한 우리나라 연합팀이 구글의 자회사인 캐글(Kaggle)이 주관하고 영국의 챔스(CHAMPS)에서 주최한 인공지능대회에서 3위에 올랐다고 3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유기물 분석을 더 정밀하게 예측하는 팀을 가리는 자리로 전세계에서 2749개팀이 참여했다. 상금은 3만 달러.

참가자들은 인공지능 기반 신약후보물질 연구에 사용되는 화합물 데이터베이스(QM9)에서 스핀-스핀 갈라짐의 양을 예측하는 기술력을 겨뤘다. 스핀-스핀 갈라짐은 핵스핀(nulcear spin)을 가지는 원자들이 분자 내에서 가려지는 효과(shielding effect)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분자의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정보다.

우리나라 팀은 김상훈(Ebay), 송원호(중앙대), 이영수(마인즈앤컴퍼니), 이유한(KAIST), 최성환(KISTI) 등 5명이 'Solve chem. together'팀으로 참여했다. 이들은 기존 자연어 처리 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딥러닝이 모델인 Transformer 모델을 화합물에 적용해 좋은 성적을 거뒀다.

최성환 박사는 "우리팀은 캐글 코리아 SNS 그룹 페이지에서 활동하는 각분야 사람들로 구성됐다. 서로의 목적이 맞아 같이 대회에 참여하게 됐다"면서 "이번 대회는 화학 분광 분야에서 학술적, 사업적으로도 가치있는 대회다. 우리가 제시한 기술의 가치를 당장 금액으로 환산하기 어렵지만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5월 말부터 캐글 플랫폼에 올라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값을 맞춰가는 것인데 각자 업무가 있어서 일을 마치고 주로 온라인으로 의견을 교환하고 조율했다"면서 "3개월의 시간동안 좋은 사람들과 좋은 경험을 만들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KISTI 관계자는 "이번 대회 결과로 얻어진 기술은 기존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양자화학 시뮬레이션을 계산 비용이 적은 인공지능 기술로 대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