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부품·장비 기술 자문 특별 전담팀' 구성
공대 교수 320명·6개 연구소가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6개 분야 R&D 지원

KAIST에 이어 서울대 공대가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로 공급에 타격을 입은 소재, 부품, 장비 100대 품목의 공급 안정화를 지원한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차국헌)은 공과대학 산학기술협력 조직인 SNU공학컨설팅센터에 소재, 부품, 장비 기술자문 특별 전담팀(TF)을 구성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이에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금속, 화학소재 산업 분야를 서울대 공대 소속의 ▲반도체공동연구소 ▲차세대 자동차 연구센터 ▲자동화시스템공동연구소 ▲신소재공동연구소 ▲정밀기계설계공동연구소 ▲화학공정신기술연구소들이 각각 기술자문을 지원한다.

서울대 공대의 '소재·부품·장비 기술 자문 특별 전담팀'은 기업들에 애로기술을 지원한다. 특히 정부가 "조기에 공급 안정화가 필요하다"라고 밝힌 100대 품목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소재·부품·장비 기술 자문 특별 전담팀'이 출범할 예정이며, SNU공학컨설팅센터를 통해 서울대 공대 320명의 교수들과 애로기술지원에 대한 상담도 가능하다.  

차국헌 서울대 공대 학장은 "이제 중소·중견기업과 대학간 연구협력을 통한 강소기업 육성이 중요해졌다"며 "우선 가장 시급한 소재, 부품, 장비 100대 품목 공급 안정화를 위해 서울대 공대 역량을 총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특별 전담팀이 조직되는 SNU공학컨설팅센터는 서울대 공대가 4년 전부터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부품 국산화, 글로벌 기술력 제고, 주 핵심 품목 부품의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업들에게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한 센터다. SNU공학컨설팅센터는 개소 이래 현재까지 1600건의 기술개발과 자문으로 중소·중견기업들을 지원했다. 

박희재 서울대 공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반도체·디스플레이 검사 장비 기술을 대학원 연구진들과 함께 개발해 대일 무역 의존도를 낮췄으며, 김수환 서울대 공대 교수팀은 IoT 기기의 핵심 기술인 고해상도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개발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4차 산업 분야 기술을 국내 기업에 이전해 상용화에도 성공했다. 

서울대 공대 소재·부품·장비 기술 자문 상담 신청은 SNU공학컨설팅센터 또는 대표 메일인 snuecc@snu.ac.kr로 하면 된다. 

기술자문 특별 전담팀 지원 분야.<자료=서울대 공대 제공>
기술자문 특별 전담팀 지원 분야.<자료=서울대 공대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