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인터넷 백과사전·논문·특허 진화 양상 빅데이터 분석

연구팀은 위키백과와 논문, 특허 모두에서 축적된 지식의 양이 많아질수록 소수 저자의 영향력이 강해지는 현상을 관측했다. 위키백과 불평등 지수는 0.9 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대부분 0.8 이하의 불평등지수를 보이는 논문이나 특허에 비해서 매우 높다.<사진-=KISTI 제공>
연구팀은 위키백과와 논문, 특허 모두에서 축적된 지식의 양이 많아질수록 소수 저자의 영향력이 강해지는 현상을 관측했다. 위키백과 불평등 지수는 0.9 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대부분 0.8 이하의 불평등지수를 보이는 논문이나 특허에 비해서 매우 높다.<사진-=KISTI 제공>
온라인 환경은 왜 가짜 뉴스, 여론 조작 등의 공격에 취약점을 보일까? 인터넷상에는 누구나 의견을 자유로이 표출 가능한 것처럼 보이지만 소수의 힘으로 여론을 쉽게 독점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KISTI(원장 최희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는 경남과학기술대학교, KAIST 연구팀과 함께 인터넷 백과사전, 논문, 특허 등의 진화 양상을 빅데이터 분석으로 집단지성 형성 과정의 규칙성을 밝혀냈다.

또 이를 바탕으로 모든 집단지성에서 지속적으로 소수 기여의 영향력이 커지는 지식의 독점화가 점점 심해지고 있다는 진단을 내놨다.

최근 AI(인공지능)와 빅데이터가 두각을 나타내며 인간 지성 형성 과정의 데이터 기반 분석 시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지식 형성 과정의 장기성·복잡성으로 인해 데이터가 방대하고 분석이 어렵다. 기존에는 소규모 표본으로 전체적인 경향성을 추정했으나 전체 데이터의 분석을 시도하지 못했다.

윤진혁 KISTI 미래기술분석센터 선임연구원을 비롯해 이상훈 경남과기대 교양학부 교수, 정하웅 KAIST 물리학과 교수 등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복잡성이 높은 데이터에서 규칙성을 찾기 위해 복잡계 방법론을 도입해 대규모 집단지성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팀은 먼저 273개 언어로 쓰여진 863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각각의 성장을 측정해 변화 양상을 분석했다.

그 결과 모든 데이터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성장 속도가 둔화되고 있음을 발견했으며 신규 기여자의 유입이 점점 줄어드는 것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이러한 현상이 독점의 영향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기여자들 사이의 기여 불평등을 정량화해 불평등 지수의 변화를 추적했다.

지식이 축적될수록 지식 생성의 불평등 지수가 높아졌으며, 소수의 독점적 영향력이 증가해 기여자의 행동을 대부분 지배하는 '독점화 현상'을 발견했다.

이러한 독점 집단은 집단지성 생성 초기에 나타나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독점적 영향력을 미치며 신규 기여자가 이런 독점 계층에 진입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러한 불평등의 창발 현상을 재현하는 행위자모형 또한 개발했다. 모형을 통해 지식이 축적될수록 미래의 집단지성 지식 독점이 더 심해지는 현상이 뚜렷하게 예측됐다. 현 상태를 방치한다면 온라인상의 정보가 소수에 의해 독점되어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과 특허에서도 독점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했다. 논문과 특허가 많이 발표된 국가들일수록 소수 연구자에 더 의존한다는 것이다.

신규 참여가 더 쉽다고 알려진 인터넷 백과사전이 상대적으로 폐쇄적인 것으로 알려진 논문과 특허에 비해서 더 독점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역설적 현상 또한 발견했다. 이는 진입장벽과 규제가 없는 경우에 더 쉽게 소수가 독점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상훈 경남과기대 교수는 "인류가 점점 압도적으로 많은 비율의 정보를 온라인·디지털 미디어에서 얻게 됐다"라며 "이제는 지금까지 주로 수동적으로 참고해왔던 그러한 정보의 모든 기록을 분석하고 근본 원리를 파악해 장점은 부각시키고 바로잡을 것은 바로잡을 때가 됐다"고 말했다.

윤진혁 KISTI 박사는 "복잡계 과학을 통한 새로운 접근법과 빅데이터를 통해 인간 지성과 여론 형성 과정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라며 "대부분의 정보가 인터넷에서 유통되는 현재, 풍성하고 협동적인 환경을 유지하고 소수의 독점화를 줄이려면 새로운 참여자들의 적극적 활동을 지원하고 독과점에 대해 제재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Nature) 자매지 네이처 인간행동(Nature Human Behaviour) 온라인판에 18일 자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