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하버드대, 아연 기반 친환경 이차전지 개발

자유로운 형상의 3D 프린팅 배터리.<사진=KAIST 제공>
자유로운 형상의 3D 프린팅 배터리.<사진=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3D프린팅으로 배터리 모양을 자유롭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총장 신성철)는 김일두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미국 하버드 공과대학 제니퍼 루이스(Jennifer A. Lewis) 교수 연구팀이 배터리 디자인의 자유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공동 연구팀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배터리의 형상을 반지 모양, 대문자 알파벳 H, U 등의 글자 모양을 포함해 원하는 구조로 자유롭게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사용되는 배터리 형상은 코인셀 또는 파우치셀 제작에 최적화된 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로 제한돼 있다.

각기 다른 디자인을 갖는 소형 전자소자의 경우 배터리 저장장치가 부피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서는 배터리의 형상을 자유자재로 바꾸는 기술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자유로운 디자인을 갖는 배터리를 만들기 위해 친환경 물 기반 아연 이차전지(Zn-Ion battery) 시스템을 도입했다.

리튬이온 대신 아연이온(Zn2+)을 전하 운반체로 사용하는 이 시스템은 물을 전해질의 일부로 사용하므로 높은 인화성의 유기용매를 전해질로 사용하는 기존 리튬 이차전지보다 안전하다.

유기용매는 수분·산소에 노출될 경우 배터리 열화의 원인이 돼 리튬 이차전지 제조 공정을 어렵게 하는 요인 중 하나다.

반면 연구팀이 도입한 수계 아연 이차전지는 대기 중의 수분·산소에 안정적이기 때문에 보다 간편한 대기 공정 조건에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3D 프린터를 이용한 플라스틱 패키징 적용에도 물은 플라스틱 패키징을 녹이지 않아 보다 간편하게 패키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KAIST 연구팀은 자유로운 형태로 재단이 간편하고 고속 충·방전이 가능하도록 양극을 설계하기 위해서 전기방사 기술을 이용해 탄소섬유(Carbon fiber) 전류집전체를 제조했다.

이후 전기화학적 활성이 높은 폴리아닐린 전도성 고분자를 탄소섬유 표면에 매우 균일하게 코팅해 전류집전체 일체형 양극을 제조했다.

3D 구조를 갖는 얇은 섬유로 이루어진 폴리아닐린 기반 양극은 2분 동안 50%를 충전하는 매우 빠른 충전 속도를 보였고, 활물질의 손실 없이 쉽게 재단할 수 있어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 제작이 가능하다.

김일두 교수는 "수용성 전해질을 이용하는 아연 이차전지는 일반 대기 환경에서 배터리 패키징 조립을 할 수 있어 3D 프린팅을 활용하면 고객 요구에 맞는 맞춤형 배터리 팩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라며 "초소형 마이크로 로봇의 외형에 잘 맞는 전력 장치나 특이한 디자인의 소형 전자소자의 저장장치로 응용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편, 김찬훈 KAIST 신소재공학과 박사, 안복엽 하버드 공과대학 박사가 공동 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재료 분야의 국제 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 12월호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한국화학연구원 최영민 박사 연구팀과도 공동 연구를 통해 소형 인체 착용형 광센서 반지에 3D 프린팅 배터리를 적용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