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튼튼 IBS 연구교수팀 "차세대 광통신 소자 개발 도움"

그래핀에 걸어주는 전압에 따라 느려지는 빛의 속도(그래프).<사진=IBS 제공>
그래핀에 걸어주는 전압에 따라 느려지는 빛의 속도(그래프).<사진=IBS 제공>
국내 연구팀이 빛의 속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메타물질을 구현했다.

IBS(기초과학연구원·원장 김두철) 나노구조물리연구단(단장 이영희)은 김튼튼 연구교수팀과 민범기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그래핀과 메타물질을 접합해 빛의 속도를 느리게 만들었다가 다시 빠르게 만드는 소자를 만들었다고 15일 밝혔다.

세상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가진 물질은 빛이다. 정보를 전달하는데 빛보다 더 유용한 물질은 없다. 그러나 현재 빛을 정보로 처리하려면 빛을 전기신호로 전환하는 과정이 동반돼야 한다. 이때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소자의 한계와 발열 문제 때문에 정보처리 속도가 느려지고 병목 현상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전력비용도 많이 발생한다.

빛의 속도를 느리게 하는 건 운전 시 브레이크를 밟는 것과 비슷하다. 빛이 전기신호로 바뀔 때 전자소자의 신호처리 속도 한계 때문에 빛의 속도가 느려져야만 원활한 정보처리가 가능하다.

자동차(빛)가 고속도로(광섬유)에서 달리던 속도로 도심(빛→전기)으로 들어왔고, 신호등(소자, 회로 등)을 통해 분배하고 통제해야 하는데 속도가 빠르면 제어에 어려움이 생긴다. 브레이크를 밟아 속도를 늦춰줘야 하는 상황처럼 빛도 느려져야 처리가 용이하다.

연구팀은 물리적 현상인 전자기 유도 투과 현상을 중심으로 이번 연구를 설계했다. 전자기 유도 투과란 강한 빛(A)을 물질에 쏴 물질의 굴절률 상태가 변할 때 다른 빛인 제어빛(B)을 같은 방향으로 쏘아주면 그 빛이 물질에 흡수돼버리는 바람에 투과할 수 없던 빛(A)이 오히려 물질을 바로 통과해버리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물질의 굴절 변화율이 커지면서 빛의 속도가 느려지는 원리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자기 유도투과 현상은 극저온 환경과 강한 세기의 제어빛과 복잡한 실험환경이 필요했다.

메타물질의 구조도.<사진=IBS 제공>
메타물질의 구조도.<사진=IBS 제공>
 
연구팀은 전자기 유도 투과 현상을 구현하고자 메타물질을 설계해 소자를 제작했다. 인공원자로 이뤄진 메타물질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연구팀은 금으로 만들어진 뚫린 고리형 구조와 막대구조의 인공 원자를 고분자 형태의 기판에 두 층으로 나누어 메타물질을 설계했다.

두 구조 사이의 위치를 조절해 물질의 굴절률을 급격히 변화시키자 빛의 속도가 느려졌다. 이렇게 만들어진 소자는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매우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상온에서도 작동하며 강한 세기의 제어빛이 없어도 전자기 유도 투과와 유사한 현상을 나타냈다.

느려진 빛을 다시 빠르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도 구현했다. 연구팀은 그래핀을 메타물질과 이온젤 사이에 껴 넣고 전압을 걸자 물질의 굴절률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했다. 그래핀에 걸어주는 전압의 세기가 커질수록 메타물질의 특성이 약화되며 급격히 변했던 물질의 굴절률이 완만해지고 빛의 속도가 다시 빨라졌다.

연구팀이 구현한 소자는 메타물질로 빛의 속도를 느리게 만들었다가 느려진 빛을 그래핀으로 빠르게 바꿀 수 있다. 한 번 제작되면 정해진 속도만큼만 빛을 느리게 할 수 있었던 기존 메타물질과 비교하면 훨씬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빛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김튼튼 연구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구현한 소자에는 테라헤르츠 주파수를 갖는 빛(테라파)을 이용하도록 제작됐다"라며 "테라파는 차세대 초고속, 대용량 통신뿐 아니라 이미징과 분광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어 큰 잠재시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성과는 미국 화학회지가 발행하는 광학 분야 전문학술지 'ACS 포토닉스(ACS Photonics, IF: 6.76/DOI: 10.1021/acsphotonics.7b01551)'에 16일 자로 출판된다. 또 지난 3월부터 이번달까지 저널 중 가장 많이 읽힌 논문으로 기록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