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예일대 공동연구팀 "메르스 등 감염병 대응 백신·치료제 개발 기여 기대"

독감, 메르스, 지카 바이러스 등 여러 병원균에 대비하는 효과적인 백신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정용우 고려대 약학과 교수와 수잔 캑 미국 예일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백신 등 세균 감염시 생성될 수 있는 면역세포 중 하나인 '기억 T세포'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인자를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국내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독감, 메르스, 지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 공포가 퍼지고 있지만 이를 예방하는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은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특히 감염시 빠르고 강한 반응을 나타내 감염 세포를 제거하는 기억 T 세포는 백신 또는 항원 자극에 의해 생성되는 면역 세포이지만, 백신에 의해 항상 기억 T 세포가 생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억 T세포의 생성과 생존, 유지 등에 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공동 연구팀으 같은 바이러스를 인식하는 CCR7 결핍 T 세포와 정상 세포를 동일한 바이러스로 자극하였고, 이 세포들이 생존하는 수를 장기별로 비교했다. 기억 T 세포가 생성되는 30일과 유지되는 80일에 허파(lung)와 골수(BM)에서 CCR7 결핍 T 세포가 정상세포보다 월등히 많이 발견됐다. 또한 모든 장기에서 발견된 기억 T 세포의 수를 합쳐 보았을 때 CCR7 결핍 세포가 정상 세포보다 많았다.<사진=연구팀 제공>
공동 연구팀으 같은 바이러스를 인식하는 CCR7 결핍 T 세포와 정상 세포를 동일한 바이러스로 자극하였고, 이 세포들이 생존하는 수를 장기별로 비교했다. 기억 T 세포가 생성되는 30일과 유지되는 80일에 허파(lung)와 골수(BM)에서 CCR7 결핍 T 세포가 정상세포보다 월등히 많이 발견됐다. 또한 모든 장기에서 발견된 기억 T 세포의 수를 합쳐 보았을 때 CCR7 결핍 세포가 정상 세포보다 많았다.<사진=연구팀 제공>
공동 연구팀은 이동성이 뛰어난 기억 T 세포들이 지속적으로 신체를 순환하며 감염이 있는지 살피는데 있어 기억 T세포의 생존에 단백질 'CCR7'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유전자 조작 실험을 통해 CCR7을 발현하지 않는 T 세포들이 정상세포들 보다 더 많은 수의 기억 T 세포들을 생성·유지하였으며, 특히 허파와 골수에서 많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CCR7이 없어야 기억 T 세포들의 허파와 골수로 이동이 용이하고 이러한 이동으로 인해 허파와 골수에 다량 분비되는 '인터루킨(interleukin)-15'란 단백질을 활용해 생존과 증식이 증가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기억 T 세포는 암 면역, 알러지 질환, 자가면역 질환, 장 염증 질환 등 다양한 종류의 면역 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앞으로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용우 교수는 "이번 연구는 면역세포인 기억 T세포의 발달, 유지 등 생존에 영향에 미치는 핵심 인자를 밝힌 것"이라며 "특히 폐와 골수에서 기억 T세포의 생존과 증식이 많이 나타난 연구결과는 독감, 메르스 등 호흡기 감염병에 대응하는 백신 개발에 새로운 과학적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