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 경제강국으로 손꼽히는 미국에 접근하는 한국의 '경제추격 속도'가 일본과 독일 등 선진국은 물론이고 중국과 대만, 싱가포르 등 아시아 경쟁국들에도 한참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 수준과 경제규모를 바탕으로 분석한 '경제추격지수' 평가에서 한국은 지난해 100점 만점에 26점으로 세계 23위에 그쳤습니다. 2013년 한국의 구매력 기준 1인당 GDP는 2만8644달러, 세계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7%로 나타났습니다.

싱가포르는 경제추격지수에서 4위를 기록했고, 5위는 일본, 중국은 6위, 홍콩은 8위, 대만은 18위였습니다. 한국이 아시아 경쟁국들에 비해 크게 뒤처진 이유는 세계 15위에 달하는 경제 규모에 비해 소득 수준 상승폭이 낮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러한 정체가 지속되면 우리가 일본을 따라잡는 것이 영원히 불가능할지도 모른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아시아 4룡'으로 불렸던 한국과 싱가포르, 대만, 홍콩 사이에 발전 속도가 차이나기 시작했는데요. 한국은 수년간 일본 소득 수준의 90%를 넘지 못하고 있는 반면 대만은 2010년 일본을 앞질렀고 점차 격차를 벌려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제가 활력을 되찾기 위해서는 새로운 성장모델을 찾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한국 경제를 일으켰던 성공 모델이 1990년대 이후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 시장 개방, 금융자유화, 사회적 갈등 등 내부와 외부의 환경이 변하면서 더 이상 힘을 가질 수 없게 됐다고 합니다.

일본을 따라가던 아시아 2세대 발전국가의 대표였던 한국의 위상이 점차 낮아지고 있습니다. 중국과 인도의 가파른 성장세는 커다란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으며, 함께 '아시아 4룡'을 이뤘던 나라들도 모두 앞서가고 있습니다. 지금이 새로운 변화가 절실한 시점이 아닌가 합니다.

대덕넷이 뽑은 오늘의 뉴스를 전해드립니다.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1. [조선일보]'경제추격 속도' 한국 23위…싱가포르·홍콩·대만에 뒤져
우리 경제가 세계 최고 경제강국인 미국에 접근하는 '경제추격 속도'가 중국·대만·싱가포르·홍콩 등 아시아 경쟁국들은 물론이고 일본·독일 등 선진국에 비해서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와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이근 교수(경제학)의 공동 조사 결과, 소득 수준(구매력 기준 1인당 GDP)과 경제 규모(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를 바탕으로 특정 국가가 경제 1위 국가(미국)를 어느 정도 추격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경제추격지수'〈키워드 참조〉 평가에서 한국은 2013년 100점 만점에 26점으로 세계 23위에 그쳤다. 2013년 한국의 구매력 기준 1인당 GDP는 2만8644달러, 전 세계 경제(GDP 기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7%였다.

2. [중앙일보]스마트 폰 → 스마트 홈…삼성전자 중심 이동
"다가올 10년의 변화가 지난 50년의 변화보다 더 클겁니다"
지난 1999년 '스마트 홈(당시에는 '디지털 홈')'의 개념을 처음으로 제안했던 빌 게이츠(59)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가 저서『생각의 속도』에서 남긴 말이다. 홈 오토메이션(HA) 기술을 탑재한 미국 시애틀 자택을 예로 든 게이츠는 "모든 가정에 서버가 구축돼 있는 미래 가정에선 컴퓨터와 다른 가전 기기들이 서로 자동으로 이야기하고, 집안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3. [매일경제]쪼개 쓰는 '원룸형 데이터센터' 뜬다
부동산 시장에서 공용면적 165㎡(50평)가 넘는 큰 집에 대한 수요는 위축된 지 오래다. 3·4인 가족이 살기에 너무 넓어 죽은 공간이 많이 나오는 데다 날로 치솟는 관리비로 속만 썩일 때가 많다. 요새 청약시장 최고 인기는 82㎡(25평) 안팎 중소형 아파트다. 늘어나는 1·2인 가구를 겨냥해 나온 원룸 오피스텔 공급도 끊이지 않고 있다. IT(정보기술) 시장에서 집 역할을 하는 데이터센터 시장에서도 똑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 비즈니스를 시작하기 전 막대한 돈을 들여 데이터센터에 투자하는 현상이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다. 쓰지도 않을 공간을 무리하게 확보해 초기 투자 비용을 날리고 애꿎은 전기요금만 많이 내는 바보짓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4. [중앙일보]3D프린터 이용 대동맥 수술 첫 성공
'3차원(3D) 프린터'를 이용한 대동맥질환 수술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성공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심뇌혈관센터(흉부외과) 송현·강준규 교수팀은 3D 프린터를 활용해 강모(60)씨와 오모(60·여)씨 등 환자 2명의 대동맥질환을 치료했다고 26일 밝혔다. 수술 전에 입체 대동맥 CT(컴퓨터단층촬영) 검사를 한 뒤 이를 3D 프린터로 출력해 실물과 꼭 같은 모형을 만드는 방식이다. 이 모형을 보면서 수술계획을 세우고 실제 치료 재료의 사용량까지 세세한 사항을 결정하는 것이다.

5. [매일경제]참 놀라운 구글
지난주 전 세계 비즈니스계에 구글 찬가가 울려퍼졌다. 불과 10년 전 워싱턴포스트 신문사의 매출(3조원)보다 적었던 회사가 어떻게 400조원(시가총액)짜리로 기적을 만들었느냐는 것이다. 구글의 매출액(66조원), 순익(14조원)은 삼성전자의 3분의 1 수준밖에 안 된다. 그런데 주식가치는 배가 넘는다. 이 무슨 셈법인가?

6. [동아일보]꿈쩍않는 '관피아' 철옹성…부패 고리 못끊으면 개혁 헛말
60개국 가운데 26위. 올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의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대한민국은 대상 60개국 가운데 26위였다. 2011, 2012, 2013년 3년 연속 22위였던 순위가 4계단 하락했다. 지난해에 비해 경제성과(20위), 인프라(19위)는 제자리였지만 정부 효율성(20위→26위)과 기업 효율성(34위→39위)은 각각 6계단과 5계단 하락했다. 법과 제도의 틀이 기업 경쟁력을 촉진하는 정도는 48위, 금융과 은행 규제의 적절성은 55위에 그쳤다. 정부가 기업 관련 법, 제도, 규제를 효율적으로 운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7. [중앙일보]인건비 10분의 1…중국기업 '메이드 인 아프리카' 열풍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아바바 외곽엔 중국 기업 화젠(華堅)의 공장이 있다. '세계신발도시'라는 광둥성 둥관(東莞)의 최대 신발제조사인 이 회사는 2012년 에티오피아에 공장을 열었다. 지난해 이곳에선 에티오피아인 직원 3500명이 신발 200만 켤레를 생산했다. 대부분은 나인웨스트·게스 등 미국 브랜드에 납품한다. 장화룽(張華榮) 회장은 1년에 절반 이상을 에티오피아에 머무른다. 향후 20억 달러를 투자하고 5만 명 이상 고용해 에티오피아를 유럽과 북미의 수출기지로 삼겠다는 계획과 함께다.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는 최근 화젠의 사례를 전하며 "자원 개발을 위한 사회기반시설 건설로 시작된 중국의 아프리카 투자가 제조업 투자라는 다음 단계로 넘어갔다"고 보도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