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에 부착된 나노입자에 따라 방출 색깔 조절…원격 바이오측정 기대

파랑색 발광 유기나노선 한 부분에 빨강색과 녹색의 양자점을 부착시킨 하이브리드 나노광도파관이다. 광도파관 좌측 끝에 검출하고자 하는 발광염료(주황색)가 붙은 바이오 물질을 부착시켰다. 하이브리드 나노광도판을 통해서 전달되는 빛 에너지 때문에 바이오 물질에 붙은 발광염료가 발광하면서 센싱하는 개념도이다.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파랑색 발광 유기나노선 한 부분에 빨강색과 녹색의 양자점을 부착시킨 하이브리드 나노광도파관이다. 광도파관 좌측 끝에 검출하고자 하는 발광염료(주황색)가 붙은 바이오 물질을 부착시켰다. 하이브리드 나노광도판을 통해서 전달되는 빛 에너지 때문에 바이오 물질에 붙은 발광염료가 발광하면서 센싱하는 개념도이다.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가시광선 전 영역의 빛 전달 신호통로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주진수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왼쪽 위), 조은혜 연구원(제1저자)(오른쪽 위), 김정용 성균관대 에너지학과교수(왼쪽 아래), 김진상 미시간대 재료공학 교수(오른쪽 아래) <싸진=한국연구재단 제공>
주진수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왼쪽 위), 조은혜 연구원(제1저자)(오른쪽 위), 김정용 성균관대 에너지학과교수(왼쪽 아래), 김진상 미시간대 재료공학 교수(오른쪽 아래) <싸진=한국연구재단 제공>
주진수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와 김정용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 김진상 미시간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지름 1~20nm의 작은 나노입자를 수십 나노미터의 가느다란 선(유기나노선)에 부착해 가시광선 전 영역의 빛을 전달하는 하이브리드 나노광도파관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빛을 전달·반사시켜 특정 파장의 빛을 검출하는 방식의 바이오센싱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도파관을 만들 때 이미 전달할 수 있는 빛의 색깔이 결정됐다. 그러나 바이오 물질에 부착된 염료나 발광물질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광도파관을 통해 가시광선 전 영역을 포함한 빛을 전달할 수 있어야 했다.

이번에 만들어진 하이브리드 광도파관은 유기나노선 표면에 부착된 나노입자의 종류에 따라 출력되는 빛의 색깔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기존과 다른 점이다. 실제 빨간색과 녹색 빛을 내는 나노입자를 파란색 빛을 내는 유기나노선에 흡착시켜보니 나노선을 통해 출력되는 발광빛이 세 가지 색깔이 혼합된 백색광으로 구현됐다.

특히 백색광을 수송하는 나노광도파관은 다중신호 전달이 가능하므로 각종 첨단 나노광소자와 광통신용 나노소재로 쓰일 수 있으며 빛에 반응하는 물질검출에도 응용될 수 있다. 

주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나노입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나노광도 파관은 각종 나노물질의 원거리 측정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며 "이를 발판으로 더 먼거리에서 측정이 가능한 바이오센싱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신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머티리얼스 표지논문으로 채택돼 6월 25일자에 실렸다. 

녹색과 빨간색 나노입자가 흡착된 유기발광나노선(TSDB)의 발광특성. 컬러전하결합소자(CCD) 이미지(좌), 양자점에서 나온 녹색(G) 및 빨강색(R) 발광 빛이 유기나노선에서 발생한 파란색 발광 빛(B)과 함께 나노선 축을 따라 나노선 한쪽으로부터 방출된다. 발광스펙트럼 색좌표계(우), 도파된 빛은 백색(0.281, 0.359)에 가까운 색을 낸다. 흡착되는 양자점의 종류와 농도를 조절하여 도파되는 발광 빛의 색깔을 조절할 수 있다.
녹색과 빨간색 나노입자가 흡착된 유기발광나노선(TSDB)의 발광특성. 컬러전하결합소자(CCD) 이미지(좌), 양자점에서 나온 녹색(G) 및 빨강색(R) 발광 빛이 유기나노선에서 발생한 파란색 발광 빛(B)과 함께 나노선 축을 따라 나노선 한쪽으로부터 방출된다. 발광스펙트럼 색좌표계(우), 도파된 빛은 백색(0.281, 0.359)에 가까운 색을 낸다. 흡착되는 양자점의 종류와 농도를 조절하여 도파되는 발광 빛의 색깔을 조절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