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R&D특구 등 현안 놓고 다른 목소리..."큰 그림 그려야"

최근 대덕밸리를 둘러싸고 외부의 관심이 연일 높아지고 있다.

국가 미래 운명을 좌우할 '대덕R&D특구' 건설을 비롯해 한국원자력연구소의 '핵실험 의혹', 차세대 성장동력 '연구개발 현안' 등이 그것이다.

특히 대덕R&D특구는 지역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과히 혁명적이라 할 수 있는 대역사다.

대덕R&D특구 추진은 국가적으로 중대한 사안으로 정부를 비롯한 각계에서 '어떻게 하면 대덕R&D특구를 성공시켜 국가 성장동력의 열쇠를 쥐게 할 것인지' 고민이 많다.

무엇보다 대덕R&D특구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내부 구성원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특구의 내용을 채워야 한다는 게 참여정부의 기본 입장이다.

한마디로 정부는 지역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반영해 대덕R&D특구 지원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무언의 약속을 한 셈이다.

'과학기술 대덕을 위해 안정적 지원을 하겠다'는 입발린 소리로 과학계를 달래던 예전 역대 통치권자들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정부가 이러한 요구를 해오는데 정작 대덕밸리 내부 구성원들은 어떤가.

최근까지 수차례 잇따른 R&D특구관련 토론회에서 각계 의견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연구소와 벤처기업, 학교 등이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각각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때문에 내부 구성원은 물론 특구정책 입안자들까지 '특구가 도대체 뭐하는 곳인가'라는 R&D특구 기본 취지에 대해 혼선을 빚을 정도다.

우선 대덕밸리 벤처업계에서는 자금지원을 주장하고 있다.

지난 4일 유성호텔에서 열린 '대덕R&D특구 상업화 및 기업혁신을 위한 간담회'를 비롯해 최근 몇차례의 토론회에서 벤처기업인들은 이구동성으로 "대덕 R&D특구의 상업화를 위해 연구개발 상용화 주체인 벤처기업에 정부의 전폭적인 자금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구소는 어떤가.

최근 출연연 한 고위관계자는 "대덕R&D특구는 분명 연구원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며 "특구 추진의 핵심인 연구소들을 집중 지원하면 자연스럽게 연구개발 상용화가 이뤄진다"고 강조했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 ICU(한국정보통신대학교), 충남대 등 지역내 대학교에서도 저마다 '인재 양성'을 내세우며 '특별'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이처럼 '대덕R&D특구 내용에 무엇을 담을까'에 대한 문제가 현실적으로 과학계의 가장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내부 구성원들에게서는 '화음'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대덕과 같이 R&D특구를 추진하고 있는 대구, 광주 등의 지자체들은 R&D특구 지정을 위해 정부 핵심인물과 기관장이 총력을 다하고 있다. 마치 007 작전을 방불하듯 '대외비'를 전제로 사활을 거는 형국이다.

한국원자력硏의 핵실험 의혹...과연 그들만의 문제일까.

최근 한국원자력연구소의 핵실험 의혹은 국제적 핫이슈다. 국내외 언론을 비롯해 주변강국들의 호기심으로 인해 원자력연구소는 지금 그야말로 불난 호떡집처럼 떠들썩하다.

반면 연구원들은 자칫 잘못된 한마디로 인해 연구소와 국가에 악영향을 미칠지 몰라 핵개발과 관련한 모든 사안에 대해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숨 죽이며 연구에 임하고 있다.

그러나 다소 이상하게 여겨지는 점은 원연 연구원들만 고요한게 아니라는 것이다. 대덕밸리 대부분의 정부출연연구기관들도 조용하다.

난관에 처한 원자력연구소에 대해 아무런 반응이 없다. 마치 '남의 일'인양 무반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원자력연구소의 핵 개발 문제는 단순히 원자력연구소만의 문제가 아닌 과학계 전체의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여타 과학 기관에서 원자력 연구소의 입장을 대신해 과학적 입장을 설명하려는 분위기는 어디에서도 느껴보기 어렵다.

출연연 한 관계자는 "대덕R&D특구나 원자력연구소의 핵실험 의혹 문제나 모두 대덕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내부에서는 반응이 없다"며 "진정 한국 과학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대덕밸리의 적극적인 반응과 합일된 목소리부터 나와야 한다"고 피력했다.

"의견 합치되면 무한한 잠재력"...'산업박람회' 등 못 이룰게 없다

"국가 핵심 두뇌가 한 데 모인 대덕밸리에서 한 목소리, 일치된 힘이 나오면 안될 것이 있겠어요?"

대덕밸리를 바라보는 다수 외부인들의 시각이다.

대덕밸리 내부 구성원들도 '대덕밸리가 지역과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받으면 대부분 "과학기술 역량이 집결되면 이루지 못할 것이 없을 것"이라고 자부한다.

지난 주 부산에서 열린 '부산ITU' 산업박람회를 다녀 온 한 대덕밸리인은 "대덕밸리의 내부 기관들의 힘을 모으면 '부산ITU'에 버금가는 아시아 최대의 첨단 과학기술 산업박람회도 충분히 개최할 수 있을텐데..."하며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또, 대덕밸리의 첨단 과학 인프라를 체험한 혹자는 '차세대 성장동력인 유비쿼터스 환경지역이 될 수 있는 최적의 인프라를 가졌는데 왜 이에 대해 지역에서 별다른 움직임이 없는지' 아쉬워했다.

광주시가 '光산업 도시'를 천명하고 광산업의 기반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것을 보며 한 기업인은 "대덕은 광주보다 광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역량이 앞서는데 왜 대덕은 연구개발만 하는가"하고 꼬집어 말했다.

대덕밸리는 분명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찾아볼 수 없는 우수한 자원이 살아 숨쉬고 있다.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잠재된 역량을 방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덕밸리 각 구성원들이 지역에 열정을 가지고 다양한 의견을 활발히 개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더 나아가 相生을 위해 합일된 대안을 도출해 내는 화합된 문화가 필요하다.

많은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대덕 구성원들이 지역의 열정을 불사르고 연구소-벤처업계-학교-지자체 등이 한 목소리로 지역 살리기에 올인해야 한다"며 "보다 내부의 작은 차이에 집착하지 말고 과학기술을 통해 한국을 변화, 발전시킨다는 큰 그림을 그려야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부가 설령 대덕을 'R&D특구'로 지정해도 내부의 혼선으로 외부에서 신뢰를 잃을 경우 특구 성공은 커녕 자칫 외국의 실패사례처럼 더이상 '되새길 수 없는 늪'에 빠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런점에서 오는 14일과 22일로 예정된 '대덕R&D특구 공청회'는 그동안 갈라졌던 대덕밸리내 목소리가 하나로 합쳐지고, 잠재된 역량을 바탕으로 21세기 한국의 성장엔진이란 비전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게 많은 뜻있는 사람들의 바램이다.
 
<대덕넷 김요셉 기자> joesmy@HelloDD.com      트위터 : @ssebiU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