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나노입자 연구단·고려대 협업···TiO2 기반 리튬이온배터리 제조
고온 아닌 중온에서도 추가 상변화 발생···충·방전 거듭 시 손실 커져

상온과 온화한 열 조건하에서 리튬이온배터리 구조 변화. <사진=IBS 제공>
상온과 온화한 열 조건하에서 리튬이온배터리 구조 변화. <사진=IBS 제공>
배터리 수명을 줄이는 열화과정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규명했다. 배터리 안정성의 핵심인 열화과정 원인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한 만큼, 향후 차세대 배터리 설계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IBS(기초과학연구원·원장 노도영)는 현택환 나노입자 연구단장과 성영은 부연구단장 연구팀이 유승호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팀과 함께 온도에 따른 리튬이온배터리 전극물질의 구조 변화를 관측하고, 배터리 열화과정 근본 원인 규명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스마트폰을 장시간 쓰다 보면 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과열은 배터리 수명과 성능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지만, 분자 수준의 구조적·화학적 변화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온도와 배터리 성능의 상관관계 연구를 위해 이산화티타늄(TiO2)을 전극(음극)으로 사용하는 리튬이온배터리를 제조했다. 이산화티타늄은 리튬이온배터리의 음극으로 주로 쓰이는 흑연보다 안정적인 데다 저렴하고 친환경적이다.

연구진은 충·방전 시 온도를 달리하며 X선 회절 분석법을 통해 이산화티타늄 전극 구조 변화를 관측했다. 그 결과 구동 온도가 높아지면 상온에서 일어나지 않았던 새로운 리튬 저장 메커니즘이 진행됨을 알아냈다.
 
기존 배터리 충전 시 리튬이온(Li+)이 음극으로 이동해 이산화티타늄과 반응, 상을 변화(Li0.55TiO2)시킨다고만 알려져 있었지만 분석결과 상온보다 20~30℃만 높아져도 1차 상변화 후 2차 상변화(Li1TiO2)가 일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고온이 아닌 전자기기 사용 시 발생하는 40℃ 수준의 온화한 열 조건에서도 예상치 않았던 추가 상변화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전자현미경을 통해 2차 상변화에 따른 전극 구조 변화를 관찰했다. 2차 상변화가 일어나면 에너지 장벽이 높아져 이산화티타늄 전극 내부에서 리튬이온이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그렇기에 전극 내에 리튬이온이 축적되다가 충‧방전을 거듭하면 결국 이산화티타늄 격자 구조에 결함이 생겨 비가역적인 손실이 발생했다.

유승호 교수는 "열 발생을 수반하는 에너지 장치 배터리 설계에 있어 온도는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며 "온도가 높아지면 추가적 상변화가 발생해 배터리 성능과 수명을 저하시키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성영은 부연구단장은 "최근 전기자동차 수요 급증과 함께 성능이 우수한 배터리 물질 개발이 중요해졌다"며 "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 용량이 높고 안정적인 동시에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IF 14.612)' 5일(현지시각) 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