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제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 개최
4P(포트폴리오·파이프라인·프로세스·플랫폼) 전략 추진

소재·부품·장비 기초·원천 기술 확보를 위해 중점요소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산·학·연의 유기적 연계도 강화한다. 부처간 협력과 출연연의 연구역량과 인프라를 활용해 기업 지원에도 박차를 가한다.

정부는 경제부총리와 각 부처 장관 등 정부위원 13명, 민간위원 14명이 참석한 가운데 20일 오후 2시 경기도 율촌화학 기술연구소에서 '제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를 열고 소재·부품·장비 분야 자립화 실행계획을 확정했다고 이날 밝혔다..

확정안은 산학연 융합을 통한 소재·부품·장비 기초·원천 기술 조기 확보 방안(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재·부품·장비 기술 조기 자립화 촉진을 위한 특허기반 연구개발(IP-R&D) 강화방안(특허청)' 등이다.

정부는 4P(포트폴리오·파이프라인·프로세스·플랫폼) 전략'을 바탕으로 우선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주력산업 분야에서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소재·부품 중점요소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100+α 핵심품목 분석과 연계, 투자분야를 확정하고 산업부 등 타 부처와의 역할 분담도 강화할 계획이다.

신산업과 신시장 창출 목적의 미래 소재와 미래 선도형 소재·부품 기술 개발을 위해 전제적인 투자도 병행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시급한 연구장비 개발과 조기상용화를 위해 73억원, 검사장비 개발에 115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대학 중심의 기초연구실을 신규 지정하고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초·원천 연구를 확대한다. 또 기초·원천에서 응용·개발의 막힘없는 연계를 위해 원천기술 기반형 응용연구 투자도 강화한다.

R&D 지원 유형을 도전형, 경쟁형, 플랫폼형 등으로 다변화하고 부처간 이어달리기, 함께 달리기 R&D도 강화한다. 맞춤형 관리와 부처간 협력으로 조기에 성과를 창출하겠다는 전략이다.

국가 R&D 자원의 연계·활용도 강화한다. 첨단나노시설(나노팹, 방사광가속기 등)과 연구개발특구를 활용, 기초·원천 연구와 연구 성과 상용화를 적극 지원한다.

KAIST 등 4대 과기원과 25개 출연연이 보유한 연구인력, 인프라의 기업 지원 기능도 강화할 계획이다. 출연연에는 100대 소재 부품기술기업 육성을 위한 출연연 전담팀 운영이 추진된다. 또 출연연 R&D 플랫폼을 활용해 중장기 정책제언, 현장밀착 기업지원, 글로벌 공동 협력이 추진된다. 이외에도 출연연 전문인력의 기업 파견 확대, 연구시설과 장비 개방 등이 포함돼 있다.

특허기반 연구개발(IP-R&D) 강화 방안과 관련해서는 내년에 3개 부처에서 500개 내외 과제를 추진할 계회이다. 

한편 이번 회의가 열린 율촌화학은 올해부터 추진되는 과기부의 '소재융합혁신기술개발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이다. 관련 사업에는 KIST, KAIST, 고려대, 기업 JMC와 율촌화학이 함께 한다. 사업기간은 오는 2022년 12월까지이며 38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