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길 잃은 한국의 'AI 경제'

생태계 관점에서 38개국의 혁신 역량을 평가한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자료가 눈길을 끈다. 한국 기업의 역량은 미국, 중국, 일본 다음으로 높지만 정부의 정책 효율성·다양성·역동성 등 이른바 '조정 역량'은 34위로 나타났다. 미국, 독일, 프랑스, 중국, 일본, 인도는 말할 것도 없고 체코, 러시아, 폴란드에도 밀리는 수준이다. 정책이 혁신에 도움이 되기는커녕 부담이 되고 있다는 뜻이다.

[한국경제]'4차 산업혁명의 원유' 공급이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의 원유'라 불리는 데이터가 여러 산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데이터 3법'(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보호법)을 통과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중아일보]열정의 시간, 수습의 시간

'공피고아(攻彼顧我)'라고 했다. 적을 공격하기 전에 자신부터 살펴보라는 바둑 격언이다. 아마추어 4단 바둑 고수인 문재인 대통령이 “이야기 좀 하자”며 아베의 소매를 끌었을 때 새삼 이런 격언을 떠올리지 않았을까. 회심의 일격으로 날렸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철회 결정은 오히려 외통수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한국경제]국방까지 '총선용 포퓰리즘'에 휘둘려서는 안 된다

여권이 내년 국회의원 총선거 공약으로 모병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은 "모병제 전환은 인구절벽 시대에 정예 강군으로 나아가기 위한 시대적 과제이고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모병제 공론화에 나섰다.

[매일경제]김정상 아이온큐 공동창업자 "슈퍼컴이 일반인이라면 양자컴은 초능력자"

"향후 2~5년 내에 슈퍼컴퓨터가 해낼 수 없는 일들을 양자컴퓨터가 충분히 해낼 수 있을 거라고 봅니다." 지금 쓰고 있는 일반 반도체(실리콘)컴퓨터로는 양자(퀀텀)컴퓨터가 할 수 있는 일을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상태. 이를 '퀀텀 슈프리머시'라고 한다.

[한국경제]삼성전자 최고 전략통과 아이온큐 창업자가 만났다…"양자컴, 반도체·바이오 산업 등서 해결책 제시"

6일(현지시간) '삼성 최고경영자(CEO) 서밋'이 열린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의 예르바부에나센터. 마지막 강연자인 김정상 미 듀크대 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에 이어 손영권 삼성전자 최고전략책임자(CSO) 겸 전략혁신센터(SSIC) 사장이 등장하자 좌중이 술렁거렸다. 당초 시나리오엔 없던 대담이 시작됐다. 행사장에 모인 700여 명의 정보기술(IT) 전문가가 숨을 죽이고 이 대화를 지켜봤다.

[매일경제]벤처가 스타트업, 유니콘으로

스타트업은 이 시대의 화두이자 트렌드이다. 성공한 벤처기업을 스타트업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고 보면, 스타트업의 활성화는 침체된 한국 경제의 미래를 밝혀줄 가치일 수 있다. 우리 정부도 스타트업을 키우고, 이를 다시 유니콘으로 성장시키는 데 정책의 최우선 중심을 두고 있는 것 같다.

[동아일보]산업현장에도 불어닥친 '5G 열풍'

"지니야, 오른쪽으로 10cm만 더 움직여." 7일 오후 서울 중구 노보텔앰배서더 동대문에서 만난 이용규 KT 5G플랫폼개발단장이 미끈한 곡선의 '로봇 팔'에 명령을 내리자 "네, 알겠습니다"라고 답한 로봇 팔이 정확하게 물건을 옮겼다.

[조선일보]탈원전 독주 2년, 돈도 사람도 환경도 잃었다

두산중공업의 원전 부문 공장 가동률은 내년 10% 아래로 떨어질 전망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원자로 등 원전 주(主)기기를 만드는 이 공장 가동률은 2017년까지 100%였다. UAE(아랍에미리트)의 한 원전 업체에는 한국인 직원 60명이 근무하고 있다. 탈(脫)원전 이후 벌어진 원전 핵심 인력 엑소더스로 우리 원전 산업 현장을 빠져나간 기술자들이다.

[조선일보]"고시·운동권 출신으론 창의력 한계… 국제감각 갖춘 리더 키워야"

조선일보 100년 포럼 고문인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는 10월 말 인터뷰에서 다음 100년을 준비하는 한국 교육의 과제로 "인문학 소양과 국제 감각을 갖춘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고 했다. 김 교수 인터뷰 내용을 요약했다.

[한국경제]"창업이 곧 직업훈련…'기업가 정신' 갖춰야만 디지털시대 생존"

디지털 전환 시대에 직업인으로 살아남기 위한 해법은 기업가 정신이라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이어졌다. 직원 개개인이 1인기업으로 설 수 있을 만큼 역량을 갖춰야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흐름에 대응할 수 있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또 현재 한국은 대학 입학 경쟁에 매몰돼 직업교육을 '이류'로 취급하는데, 청소년기부터 기업가 정신을 갖출 수 있도록 직업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