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국회서 18개 대학 리빙랩 네트워크 발족식 및 리빙랩 포럼 열려
"'혼자 빨리' 아닌 '함께 멀리' 가기 위한 협력 모델"

"대학은 그동안 권역별로 경쟁 하면서 협력하지 않았다.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학들이 연계해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리빙랩을 통해 대학이 지역사회 혁신에 중심이 되길 바란다."(최태진 한국연구재단 산학협력실장)
 
전국 대학들이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힘을 합치기 위한 첫걸음을 뗐다.
 
충남대 동국대 제주대 등 18개 대학의 리빙랩 네트워크 발족식과 리빙랩 포럼이 3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렸다. 발족식에 참여한 대학은 LINC+(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 사업을 통해 지역산업의 공생 발전을 비전으로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모델 창출을 지향하는 곳들이다.

18개 대학은 개별적으로 지역의 시민과 교수, 학생이 활동 주체가 돼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생활 실험실을 운영하는 리빙랩 활동을 해왔다. 이번 발족식을 통해 향후 리빙랩 사례 성과를 교류, 리빙랩이 지역사회-대학-기업 상생 협력의 선순환을 이끄는 역할을 할 계획이다.
 

18개 대학의 리빙랩 네트워크 발족식이 3일 열렸다. 발족식을 통해 대학들은 리빙랩이 지역사회-대학-기업 상생 협력의 선순환을 만들기 위해 힘을 합칠 계획이다. <사진=김지영 기자>
18개 대학의 리빙랩 네트워크 발족식이 3일 열렸다. 발족식을 통해 대학들은 리빙랩이 지역사회-대학-기업 상생 협력의 선순환을 만들기 위해 힘을 합칠 계획이다. <사진=김지영 기자>
리빙랩은 대학 뿐 아니라 기업과 지역 등 다양한 곳에서 활동이 확산 중이다. 국내 리빙랩 운동에 적극 활동 중인 성지은 STEPI 박사에 따르면 지난 2일 전라북도 산학연 시민단체들이 리빙랩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대전도 한밭대, 대전시 등을 중심으로 대전 리빙랩네트워크가 만들어지고 있다. 오는 12일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는 미래과학도시포럼을 주제로 관련 포럼도 열린다. 9월에는 기업의 비지니스 전략과 리빙랩을 엮어내는 포럼이 열리고, 11월에는 일본과 리빙랩 경험을 공유하는 장이 마련될 계획이다. 
 
성 박사는 "'혼자 빨리'가 아니라 '함께 멀리'가기 위해 서로 연대해나가고 협력하는 모델을 어떻게 만들지 고민하고 있다"면서 "대전의 대학들이 리빙랩 관련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과학을 기반으로 한 대덕연구단지 현장에서 더 활발하게 리빙랩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는 대학뿐 아니라 주최자인 더불어민주당의 박경미, 김성수 국회의원도 참석해 발족식을 축하했다.<사진=김지영 기자>
이날 행사는 대학뿐 아니라 주최자인 더불어민주당의 박경미, 김성수 국회의원도 참석해 발족식을 축하했다.<사진=김지영 기자>
 
18개 대학의 네트워크 발족식이 끝난 후 열린 포럼에서 발제자들은 리빙랩에서 대학의 역할을 강조하며 지역변화의 리더로 다양한 주체를 엮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LINC+와 대학 리빙랩을 주제로 발제한 최태진 한국연구재단 산학협력실장은 "지역사회의 혁신 주체는 대학이다. 이는 세계 추세에서도 나타난다"면서 "그동안 18개 대학은 권역별 경쟁을 하다 보니 협력 하지 않았다. 지역사회 문제해결 키워드는 근접대학의 협력과 연계다. 과거엔 경쟁했지만 발족을 계기로 연계하고 협업, 공유하는 자리가 만들어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발표자인 송위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해외에서 활발하게 일어나는 리빙랩 활동을 소개했다. 그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말라야 대학이 교내 캠퍼스 자체를 리빙랩으로 활용하며 학생과 교수들이 캠퍼스의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을 하며 훈련을 받는다. 그는 "이런 훈련받은 인재들이 지역으로 나가고 있다. 우리도 캠퍼스 대상 리빙랩 활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대학의 역할에 대해 "대학은 지역 문제해결을 위한 플랫폼으로 가장 잘 기능할 수 있는 조직"이라면서 "연구와 인재육성을 넘어 지역 문제를 풀어가며 다양한 주체들을 엮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장후은 경상대 산학협력정책연구소 학술연구 교수는 대학 리빙랩 활성화를 위해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그는 "지역에서의 산학협력 거버넌스가 단순한 협의회 구성과 운영에 따른 회의에 그칠 것이 아니라 대학과 지자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로 전개해 지역 문제를 발굴하고 지역에서의 실제적인 협력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조직, 네트워크, 운영 체계의 구축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무엇보다 대학과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전문성을 갖춘 전문인력에 대한 지원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이경아 민주연구원 연구위원은 "2019년 5월 교육부가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 대학 캠퍼스에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해 기업을 유치하고 안정적으로 공간과 창업, 성장까지 체계적으로 돕겠다는 것"이라며 "산업협력과 산업교육 방향이 대학의 인프라를 활용한 대학-지역 간 협력 활성화에 있다는 점에서 리빙랩의 활약이 무궁무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발족식에 참여한 대학은 건국대 경남대 경상대 계명대 대전대 동명대 동서대 전남대 전북대 전주대 중앙대 제주대 충남대 한남대 한밭대 한림대 호남대 동국대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