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진 부산대 교수팀, 줄기세포에 바이오센터 주입해 확인

바이오센서-형광공명에너지전이 기술 활용한 세포접착과정에서 국소접착인산화효소와 칼슘신호 연구.<사진=한국연구재단>
바이오센서-형광공명에너지전이 기술 활용한 세포접착과정에서 국소접착인산화효소와 칼슘신호 연구.<사진=한국연구재단>
줄기세포가 정착되는 초기 과정이 실시간 고해상도 이미지를 통해 확인됐다. 세포이식과 암세포 전이를 제어하는 약물 개발이 가능할 전망이다.

한국연구재단은 김태진 부산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줄기세포에 바이오센서를 주입해 촬영, 세포 접착시 신호전달 과정을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세포의 생존은 주변 조직에 접착되는 과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줄기세포가 주변 조직에 붙어서 기능이 통합돼야 세포이식이 성공적으로 이뤄진다. 암 세포는 주변 조직에 붙으면서 전이된다. 때문에 세포 접착의 역동적인 과정을 추적하는 연구들이 시도됐다. 하지만 살아있는 세포에서 시공간에 따른 필수 신호물질의 변화를 정밀하게 탐지하기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줄기세포의 세포막에서 바이오센서가 발현되도록 설계해 실시간 시각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마련했다.

바이오 센서가 형광공명에너지전이 기술을 이용해 세포접착 과정의 주요 신호물질인 국소접착인산화효소와 칼슘이온을 탐지, 이미지로 보여주도록 했다.

그 결과 세포막에서 국소접착인산화효소와 칼슘이온의 상호 작용이 확인됐다. 두 신호물질은 특정 위치에 같이 활성화 돼 있으며 국소접착인산화효소에 의해 칼슘이온의 활성이 조절됨이 밝혀졌다.

이번 성과로 향후 줄기세포 이식 성공률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태진 교수는 "줄기세포의 초기 접착과정에서 국소접착인산화효소와 칼슘의 상호작용을 밝힌 연구"라면서 "암세포의 전이 시 동반되는 세포접착을 지속적으로 차단하는 약물 개발에도 응용될 수 있다”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는 교육부‧한국연구재단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성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12월 18일자 논문으로 게재됐다.

세포막에서의 국소접착인산화효소 고해상도 실시간 이미지.<사진=한국연구재단>
세포막에서의 국소접착인산화효소 고해상도 실시간 이미지.<사진=한국연구재단>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