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우 서울대 공대 교수 "생체근육 원리로 인공근육 제어"

생물체의 신경(위)과 인공신경(아래)의 비교.<사진=서울대 공대 제공>
생물체의 신경(위)과 인공신경(아래)의 비교.<사진=서울대 공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생물의 감각·신경을 모사한 신축성 '인공신경'을 개발했다.

서울대 공대(학장 차국헌)는 이태우 재료공학부 교수가 제난 바오 스탠포드대학 교수와 공동으로 생물의 감각·운동 신경을 모사하는 신축성 인공신경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로 차세대 생체모사 장치와 소프트 로봇, 신경 보철의 개발을 앞당길 수 있게 됐다.

생물체의 독특한 구조·기능을 모방하는 생체모사 공학은 AI와 로봇공학의 핵심 기술이다. 특히 인체의 감각과 운동기관을 모사하는 전자센서와 소프트 로봇, 두뇌와 신경계를 모사하는 뉴로모픽 기술은 휴머노이드와 같은 인간 친화형 지능형 로봇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까지 이러한 생체 모사 센서와 로봇, 뉴로모픽 기술은 주로 각각 독립적으로 연구해 왔다. 뉴로모픽 기술은 주로 두뇌의 학습과 기억 기능을 모방해 디지털 컴퓨터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집중된 반면, 감각·운동 신경계를 모사하는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다.

연구팀은 빛 반응 인공신경을 이용해 인공근육을 제어하는 인공 감각·운동 신경을 구현했다. 인공 감각·운동 신경은 빛 수용체를 모사하는 광센서와 생체 시냅스를 모사하는 신축성 유기 나노선 인공 시냅스, 생체근육 섬유를 모사하는 고분자 액추에이터로 구성돼 있다.

인공 시냅스는 인공 빛 수용체로부터 인공 활동 전위를 받아 인공근육 섬유를 자극한다. 이때 생체근육의 수축 원리를 모사해 인공 활동 전위의 발화 특성에 따라서 인공근육 섬유의 수축을 제어한다. 또한 빛으로 모스부호를 입력해 간단한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광무선 통신을 이용한 사람과 로봇의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을 제시했다.

또 유기 나노선 기반의 신축성 인공 시냅스는 100% 늘어나도 원래의 전기적 성질을 유지하기 때문에 소프트 로봇과 신경 보철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기 물질은 목적에 따라서 화학적으로 분자 구조를 제어해 전기적·기계적 특성을 조절하기가 용이하다는 강점이 있다.

이태우 교수는 "저전력, 자가발전으로 구동되는 신축성 인공 감각·운동 신경은 가까운 미래에 생물체와 같이 행동하는 로봇을 개발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라며 "재료·전자·화학·기계·생체 공학의 융합 연구로 탄생한 이번 연구 성과는 알츠하이머, 파킨슨, 루게릭과 같은 질환을 완화하거나 치료하는 보철 장치 개발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자매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23일 자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