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으로 만드는 공동체···"차별화 과학도시 플랫폼"
소규모 테스트베드 도입 제안···"기술 확산하며 사회문제 해결"

대덕에 블록체인 기반 '커뮤니티 토큰'을 발행하자는 공감대들이 대덕단지 구성원들로부터 만들어지고 있다.<사진=이미지투데이 제공>
대덕에 블록체인 기반 '커뮤니티 토큰'을 발행하자는 공감대들이 대덕단지 구성원들로부터 만들어지고 있다.<사진=이미지투데이 제공>
#사례1. 시민이 모바일 앱에 '교통체증' 관련 지역 문제를 알린다. 과학자들이 AI·IoT 등의 기술로 문제해결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개인이 연결되며 의견들이 모아진다. 기술로 사회 문제를 하나씩 풀어간다. 문제를 제기한 시민이나 문제해결에 나선 연구자들에게 '커뮤니티 토큰'이 발행된다. 블록체인 커뮤니티 플랫폼이 기반이다.

#사례2. 출연연 한 박사가 세미나에서 획기적인 연구 아이디어를 제안한다. 다른 연구자들은 아이디어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 주고받는다. 이들의 논의 내용이 제3자들로부터 공감받자 이들에게도 '커뮤니티 토큰'이 발행된다. 수집한 토큰을 활용해 또 다른 커뮤니티를 만들어 간다.

대덕단지 구성원들이 그려본 블록체인 활용 차별화 과학도시의 일부 모습이다. 블록체인 기술로 지역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고 구성원들이 사회문제를 풀어가 보자는 공감대가 모이고 있다.

그동안 블록체인 기술은 '화폐적 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대덕단지 구성원들은 화폐적 기능보다는 '공동체 활성화' 분야에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소통·의사결정 등의 프로세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진정한 '수평적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구축하자는 것.

대덕단지 자발적 커뮤니티인 '카페토론 조찬모임'에서 지난 14일 이같은 의견이 제안됐다. 블록체인을 접목, 지역 활성화 가능성을 고민하고 차별화된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가자는 내용이다.

과학기술계 종사자는 "블록체인 기술을 과학단지 대덕 커뮤니티에 적용해 시범적 운영을 해보자. 블록체인 기술 활용·확산으로 사회 문제를 하나씩 풀 수 있다"라며 "블록체인은 분산·암호화 방식이 주는 신뢰성을 바탕으로 한다. 신뢰의 축적으로 차별화된 공동체 의식도 만들어보자"라고 제안했다.

또 다른 대덕특구 구성원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지역사회 문제들을 해결해가면 디지털 민주주의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 있다"라며 "지역 구성원들의 지식재산이 투명성·보안을 보장받으면서 교류·거래가 촉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과학기술 테스트베드 대덕···적용사례 하나씩 늘려야"

블록체인 전문가들이 블록체인 기반 커뮤니티 플랫폼 실제 적용의 필요성을 언급했다.<사진=이미지투데이 제공>
블록체인 전문가들이 블록체인 기반 커뮤니티 플랫폼 실제 적용의 필요성을 언급했다.<사진=이미지투데이 제공>

대덕단지 블록체인 기술 스타트업인 빅픽처랩(대표 금창섭)에서 '커뮤니티 토큰'을 개발해 사내 프로토타입으로 활용 중이다. 매주 개최하는 '기술토크'에서 직원들은 아이디어·의견을 제시·타진하며 토큰을 발행받는다. 직원들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는 물론이고 효율적 팀워크까지 꾀하고 있다. 연말에는 토큰에 대한 보상도 이어진다.

금창섭 대표는 "사내에서 발행하는 커뮤니티 토큰은 화폐의 개념이 아니다. 쿠폰·증표의 개념으로 사내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고 있다"라며 "커뮤니티 토큰 모델이 대덕단지 공동체 활성화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대덕단지에 연구자와 그들의 재능이 넘쳐나지만 연대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로컬을 기반으로 온·오프라인 연결이 중요하다"라며 "블록체인 기술로 주관적 의견들을 모아 객관화시킬 수 있다. 이는 사회문제 해결의 단초를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블록체인 규제에 대한 이야기도 전했다. 그는 "블록체인을 화폐의 개념으로 인식되는 순간 여러 규제에 가로막히기 시작한다"라며 "공동체 네트워크를 만드는 블록체인 토큰 발행은 규제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블록체인 전문가 한호현 경희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도 '블록체인 테스트베드 도입'에 필요성을 공감했다. 그는 "대덕단지에는 블록체인에 필요한 원천·응용기술들이 무수히 존재한다"라며 "커뮤니티 활성화 블록체인 기술의 도입 시도를 권장해야 한다. 실제 적용 사례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교통카드 사례를 들었다. 전자화폐 개념이 없던 1990년대 말께 교통카드 도입에는 수많은 규제에 가로막혀 있었다. 하지만 시범적 운행에서 효용성·안전성이 검증되면서 각종 규제들이 하나씩 풀려나갔다.

한호현 교수는 "사회에 파급력이 있는 기술은 규제를 뛰어넘는 기술"이라며 "규제가 있더라도 미래에 대한 바람직한 사회변화 확신이 있다면 테스트 도입이 필수불가결"이라고 확신했다.

오픈소스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전문가 함진호 ETRI 박사는 "대전에 블록체인 기반 사회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해 다양한 지역문제 해결 사례를 만들어가자"라며 "의견이 왜곡되지 않는 블록체인은 소통에 강력한 도구다. 자연스러운 바텀업 공동체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최수만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은 "블록체인 기술인력·전문인력 등을 육성·지원하며 '블록체인 커뮤니티 생태계 시스템'을 형성에 일조하겠다"라며 "지역에서 시작된 블록체인 플랫폼들이 활성화돼 다른 지역들과도 연계되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