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박 KAIST 교수 "감각 느끼는 로봇 상용화 기대"

다양한 코팅법을 활용한 로봇피부의 제작과 로봇피부 신호 확인. 목각 손 모형에 개발된 로봇피부 용액을 뿌린 뒤 가열해 3차원 표면에 로봇피부를 형성시켰다. 손가락이 구부러짐에 따라 로봇피부에 인장력이 가해져 신호가 바뀌었다. 또 로봇피부 용액을 이용해 원하는 모양의 로봇피부 제작이 가능하다.<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다양한 코팅법을 활용한 로봇피부의 제작과 로봇피부 신호 확인. 목각 손 모형에 개발된 로봇피부 용액을 뿌린 뒤 가열해 3차원 표면에 로봇피부를 형성시켰다. 손가락이 구부러짐에 따라 로봇피부에 인장력이 가해져 신호가 바뀌었다. 또 로봇피부 용액을 이용해 원하는 모양의 로봇피부 제작이 가능하다.<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꼬집으면 반응할 수 있는 로봇피부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스티브 박 KAIST 교수와 김정 교수 공동 연구팀이 3차원 표면에 코팅이 가능하며 자극을 구분하는 로봇피부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과학기술계는 인간과 같은 기능을 가진 '휴머노이드', 몸에 착용하는 '헬스케어 장치' 등 인간처럼 촉각을 구현하려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연구팀은 로봇의 복잡한 형상에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는 로봇피부를 개발했다. 균일하게 코팅해야 로봇피부에 가해진 자극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개발된 로봇피부 용액을 원하는 물체에 뿌린 뒤 굳히면 로봇피부가 형성된다. 매우 간편한 용액공정을 통해 제작하므로 저비용으로 대면적·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 복잡한 형태를 지닌 로봇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로봇피부는 인간과 같이 압력과 마찰을 구분해낸다. 수직 압력과 마찰에 대해 로봇피부의 내부구조가 각각 다르게 변형되기 때문에 이들을 구분할 수 있다.

또 의료영상 기법 중 하나인 전기임피던스영상(EIT)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복잡한 전기 배선 없이 로봇피부에 마찰이 가해지는 곳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스티브 박 교수는 "개발된 로봇피부는 저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복잡한 3차원 표면에도 손쉽게 코팅이 가능하다"라며 "로봇피부의 상용화에 한 걸음 가까워질 수 있는 원천기술"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오진원 석사과정, 양준창 박사과정이 공동1저자, 박현규 석사과정이 공저자로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ACS Nano)'에 지난달 28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