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울산시, 생체장기모사 연구센터 공동 제안 사업 선정
UNIST-WFIRM-UniBasel, 장기모사 기술 공동연구

UNIST에서 개발 중인 혈관통합 생체장기모사 칩의 모습. 한쪽은 혈관 다른 쪽은 장기 채널이다.<사진= UNIST 제공>
UNIST에서 개발 중인 혈관통합 생체장기모사 칩의 모습. 한쪽은 혈관 다른 쪽은 장기 채널이다.<사진= UNIST 제공>
UNIST와 울산시가 동물실험을 대체할 '생체장기모사 칩' 개발에 나선다. 

UNIST(울산과학기술대학교·총장 정무영)는 울산시와 공동 제안한 'UNIST-WFIRM-UniBasel 생체장기모사 연구센터'가 '2018 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사업'에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생체장기모사 연구센터는 UNIST와 미국 웨이크 포레스트 의과대학(WFIRM), 스위스 바젤대학 의과대학(UniBasel)이 공동으로 생체장기모사 기술을 연구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 연구센터는 생체장기모사 칩을 개발하고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생체장기모사 칩은 심장이나 폐, 간 등 사람 몸속 장기를 모방해 만든 작은 칩이다. 이 칩은 장기를 이루는 세포와 주변 환경 등을 재현해 실제 장기가 작동하는 시스템을 가진다. 

이 칩을 이용하면 안전성은 물론 약물 전달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어 기존에 발생했던 윤리적 문제와 비용, 시간 등도 해결 가능하다.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도 생체장기모사 기술 중 하나다. 이 기술은 세포와 생체 재료 등을 이용해 실제 조직·장기와 같은 복잡한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한다.

연구센터는 앞으로 6년간 정부에서 약 33억원을 지원받는다. 울산시도 매년 1억원씩 총 6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WFIRM에서 330만 달러(약 37억원), UniBasel에서 297만 달러(약 33억원)를 출자해 연구센터 공동 설립을 지원한다. 

김철민 센터장은 "배양된 세포나 동물실험에 의존하는 기존의 전임상 신약 스크리닝은 실제 인체장기가 작동하는 생리환경을 반영하지 못한다"며 "동물실험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와 비용, 시간, 결과의 부정확함 등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생체장기모사 칩이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을 발전시키면 혈관을 가진 소형 생체모사 장기를 구현할 수 있다"면서 "이를 활용한다면 신약개발 구조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생체장기모사 연구센터를 중심으로 글로벌 병원과 기업이 참여하면 대규모 산학연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이는 울산 위상 확립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사업은 해외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 연구기법 등을 도입해 국가과학기술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해 2005년부터 시작됐다. 올해는 총 3개의 공동연구센터와 1개의 법인이 선정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