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종인 연세대 교수 연구팀, 신호전달 체계 과정 규명

디셰벌드에 의한 YAP의 핵외이동 모습.<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디셰벌드에 의한 YAP의 핵외이동 모습.<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암의 크기 증가와 전이되는 정도의 연관성이 밝혀졌다.

한국연구재단은 육종인 연세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암전이와 증식을 조절하는 신호전달 체계의 조절과정을 규명했다고 24일 밝혔다.

우리 몸에 암이 발생하면, 크기가 커질수록 주변 림프절과 다른 조직으로 전이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반대로 암의 크기가 작음에도 전이되는 경우도 있어, 암 전이와 증식의 관계는 여전히 비밀에 싸여 있었다.

연구팀은 암세포의 전이에 관여하는 윈트(Wnt) 신호전달과 암세포의 증식을 조절하는 히포(Hippo) 신호전달의 상호조절 관계를 규명했다.

윈트 신호전달의 활성인자인 디셰벌드(Dishevelled)가 히포 신호전달의 조절인자인 YAP의 활성을 조절하면서 암 전이와 이뤄진다. 디셰벌드는 인산화된 형태의 YAP과 결합해 세포핵 밖으로 이송함으로써 활성화되지 않도록 막는데 디셰벌드가 YAP를 억제하지 않으면 윈트 신호와 YAP이 동시에 활성화돼 암이 증식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또 종양억제인자인 p53 또는 LKB1이 결손되면, 디셰벌드에 의한 YAP 활성 억제가 차단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기존 연구에서 종양억제인자가 YAP의 인산화 상태를 결정하고 결과적으로 YAP의 핵-세포질 수송을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p53 또는 LKB1의 결손 시에 YAP의 인산화가 억제되면서, 디셰벌드에 의한 YAP 활성억제 기능이 차단될 수 있어 윈트 신호와 YAP이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음을 규명했다.

육종인 교수는 "이 연구는 암세포의 전이와 증식을 유기적으로 조절하는 신호전달 조절 기전을 규명한 것으로, 암의 예후 예측에 제대로 된 지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전략과제)(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교육부 소관)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12일 논문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