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악성흉수 암세포 표적 치료 기술 개발

폐암 전이 악성흉수 등 난치성 희귀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가능성이 제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하재주)은 임재청 방사선과학연구소 박사팀이 정재욱 충남대병원 교수팀, 강남세브란스병원, 에스지메디칼과 공동 연구를 통해, 폐암으로부터 전이되는 악성흉수의 암세포를 표적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사성동위원소 화합물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흉막강은 흉벽, 횡경막, 종격동을 덮고 있는 벽측 흉막과, 폐엽 간 틈새를 포함한 폐를 덮고 있는 장측 흉막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한다.

호흡 시 폐 확장이 촉진되고, 폐 팽창을 유지하기 위해 이 공간에 소량의 흉수가 존재하게 된다. 하지만 세균성 폐렴, 결핵, 악성 종양 등에 따라 흉막강 내 비정상적으로 액체가 고이는 악성 흉수가 발생한다.

폐암에서 전이된 악성흉수는 암세포의 분자생물학적 특성이 바뀌어 기존 폐암 관련 치료법을 적용하기 어려웠다. 

또한 흉관 삽입이나 흉막 유착술 등으로 악성흉수를 일시적으로 제거해도, 암세포가 흉벽에 그대로 남게 되어 악성흉수의 암세포를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치료법이 필요했다.

연구팀은 폐암의 암세포와 달리 전이된 악성흉수의 암세포에서 특정 단백질(CD55 수용체)이 높게 발현되는 것에 착안해 이 단백질을 표적할 수 있는 항체를 특별히 제조하고, 진단·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루테튬(Lutetium)-177을 결합한 새로운 동위원소 약물전달체를 만들었다.

이어 연구팀은 동물 실험과 SPECT(단일광자단층촬영) 영상 촬영을 통해 이 약물 투여 대상의 생존 기간이 대조군에 비해 2배 이상 연장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에서 생산한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기술과 생명공학기술을 융복합한 새로운 방법이다.

임재청 박사는 "앞으로도 민간에서 연구개발하기 어려운 난치성 희귀질환에 대해 첨단 방사선과학기술을 이용한 치료방법을 제시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욱 충남대병원 교수는 "적절한 치료제가 없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악성흉수 등 희귀질환에 대한 신약 개발에 활용되어 국민의료복지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지난 12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자가 하나로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시설에서 루테튬(Lutetium)-177을 제조하고 있다.<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자가 하나로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시설에서 루테튬(Lutetium)-177을 제조하고 있다.<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