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택 성균관대 교수팀, 체내 이식형 약물전달 플랫폼 이용 면역세포 활성화 기술 개발

 ImmuneCare-DISC(iCD)의 작용기전. 젬시타빈과 백신이 iCD에서 서서히 방출되며, 젬시타빈에 의해 종양미세환경이 제어되고 백신이 면역세포 자극 및 활성화.<사진=한국연구재단>
ImmuneCare-DISC(iCD)의 작용기전. 젬시타빈과 백신이 iCD에서 서서히 방출되며, 젬시타빈에 의해 종양미세환경이 제어되고 백신이 면역세포 자극 및 활성화.<사진=한국연구재단>
차세대 항암 치료기술인 항암면역치료 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임용택 성균관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몸속에 이식하는 약물전달 플랫폼을 이용해 수술 후 암의 재발이나 전이를 방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항암면역치료는 체내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화학항암제를 통해 암세포를 직접 사멸시키는 기존 방법에 비해 부작용과 독성이 적고 다양한 암에 적용할 수 있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 항암면역치료에 반응하는 환자군은 20~30%로 낮은 편이다. 골수유래면역억제세포(MDSC) 등에서 분비하는 요소들이 종양미세환경에서 면역기능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항암면역치료를 저해하는 MDSC를 제어하고 면역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약물전달 플랫폼(ImmuneCare-DISC)을 개발했다.

개발된 약물전달 플랫폼을 몸속에 이식하면 항암제인 젬시타빈과 백신이 서서히 방출된다. 젬시타빈은 암세포의 사멸 뿐만 아니라 MDSC 비율을 감소시켜 면역억제 환경을 개선시키고 항암면역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연구팀이 90%만 제거돼 완치되지 않은 동물모델에 약물전달 플랫폼을 삽입하자 암의 개발과 폐 전이가 억제되고 생존율이 증가됐다.연구팀에 의하면 이 과정에서 항암 백신으로 종양 용해물이 사용됐고 유방암 세포주 뿐만 아니라 다른 종양 모델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임용택 교수는 "약물전달 플랫폼을 이용한 항암면역치료 기술은 젬시타빈을 주사제로 사용할 때 낮은 안전성과 반복적 투여에 따른 독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서 "수술 후 흔히 발생하는 암의 재발이나 전이를 방지하고 수술이 어려운 난치성 암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고 연구의의를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지원으로 수행됐다. 성과는 소재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3월 23일 논문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