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제민 한양대 교수 연구팀 인간단백질 Chi3l1 유전자 기능 규명

Chi3l1 유전자 결핍 쥐에서 Th1세포(CD4)와 CTL세포(CD8) 기능 증진.<사진=한국연구재단>
Chi3l1 유전자 결핍 쥐에서 Th1세포(CD4)와 CTL세포(CD8) 기능 증진.<사진=한국연구재단>
국내연구진이 식물의 키틴분해효소와 유사한 인간 단백질을 표적으로 암에 대한 면역반응을 활성화하는 항암치료 방법을 제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제민 한양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T세포 면역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인간단백질(Chi3l1) 유전자의 기능을 규명하고, 이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면역치료 물질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기존 항암제는 암 세포의 직접적 사멸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최근 항암면역치료는 암에 대해 스스로 면역 능력을 증가시키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항암제의 부작용과 암의 재발을 해결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연구팀은 식물이 병충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1차적 방어물질인 키틴 분해효소에 주목했다. 그리고 유전적으로 보존돼 있는 인간 단백질(Chi3l1)의 T세포 분화 조절을 통해 암 면역반응을 증가시키면 흑색종의 폐 전이를 억제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면역체계 역할을 연구했다. 그결과 Chi3l1이 키틴 분해 능력은 잃었지만 암에 대한 T세포의 면역반응 조절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연구팀은 Chi3l1 유전자에 결합해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표적 치료물질(펩타이드―siRNA 중합체)을 개발해 냈다. 이 물질은 흑색종 암이 폐로 전이되는 생쥐실험에서, 암세포의 폐 전이를 획기적으로 억제해 그 효능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Chi3l1 의 역할을 최초로 규명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 진화적으로 보존된 1차적 보호물질들의 항체면역, 자가면역, 알레르기, 암 면역 등 다양한 분야로 후속연구가 이뤄질 전망이다.

최제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다양한 종에서 진화적으로 보존된 키틴 분해효소 유사 단백질이 인간의 면역조절 기능이 있음을 규명하고 이를 표적으로 한 항암면역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라며 "이처럼 다른 생물종의 1차적 방어물질의 면역체계 역할을 규명하는 후속연구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교육부·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자지원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5일자 논문으로 게재됐다.

연구팀 단체사진.<사진=한국연구재단>
연구팀 단체사진.<사진=한국연구재단>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