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 신개념 패혈증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어

패혈증에서 LSD1 인산화와 활성 조절을 통한 마우스 생존율 변화.<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패혈증에서 LSD1 인산화와 활성 조절을 통한 마우스 생존율 변화.<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패혈증을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을 규명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조무제)은 백성희 서울대 교수와 김근일 숙명여대 교수 연구팀이 패혈증을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을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패혈증은 미생물에 감염돼 전신에 심각한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질병이다. 건강한 사람이 발병하더라도 증상이 빠른 속도로 악화하고 다양한 장기 손상을 가져와 치사율이 높다. 

패혈증 치료는 환자에게 항생제를 투여해 원인균을 제거함으로써 이뤄지므로 패혈증 원인균을 알아내려면 최소 3~5일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단기간 내에 환자의 상태가 악화하는 것을 막고 증상을 완화할 방법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연구팀은 히스톤 탈메틸화 효소인 'LSD1'의 인산화 여부가 패혈증으로 인한 염증반응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LSD1은 안드로겐 수용체나 에스트로겐 수용체 등과 결합해 암 발생이나 생체 리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염증 반응을 촉진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생쥐에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물질을 주사해 패혈증과 유사한 상황을 유도했다. LSD1이 인산화되지 않도록 유전자 변형된 생쥐는 정상 생쥐보다 폐 조직 손상이 적고 생존율도 더 높았다.

백성희 교수는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새로운 신호전달 경로를 발견했고 이 경로를 차단하면 패혈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했다"라며 "패혈증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치료제 표적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셀(Cell)의 자매지인 '몰레큘라 셀(Molecular Cell)'에 지난 25일 논문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