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 대역 날씨 적응형 모뎀으로 안정성 높여···위성통신 공공서비스 등 역할 담당

ETRI 연구진이 위성연구센터에서 통신탑재체를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사진=ETRI 제공>
ETRI 연구진이 위성연구센터에서 통신탑재체를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사진=ETRI 제공>
국내 기술로 개발한 천리안위성 1호에 탑재된 통신탑재체의 우수함이 입증됐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원장 이상훈)는 천리안위성에 실린 통신탑재체를 독자 개발하고 위성관제 등을 통해 성능과 기술면에서 세계적 수준임을 검증했다고 14일 밝혔다. 

통신탑재체는 지난 2010년 천리안위성에 실려 발사된 후 지난 7년 동안 위성통신 공공서비스, 위성 신호측정, 지상단말 시험, 위성관제 등의 역할을 해왔다. 

탑재체는 주파수가 20~30㎓(기가헤르츠) 고주파 대역인 Ka 대역이다. 통신 관련된 중계기 3개 채널을 개발해 위성에 탑재, 그동안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특히 공공 통신위성으로 국가 재난비상통신, 기상데이터 전송, 해양관측데이터전송, 군통신 서비스 등 국가 안보와 국민 안전을 위해 활용됐다. 

천리안 1호에 적용된 Ka 대역 위성기술은 4K 초고화질(UHD) TV는 물론 초고속 인터넷 등 광대역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차세대 핵심기술로 ETRI는 Ka 대역 신호의 강우 감쇠에 대한 취약점 해결을 위한 '적응형 모뎀기술'을 적용, 날씨에 따른 신호를 변경토록 설계했다. 

또 탑재체 내 인쇄회로기판(PCB)을 작은 반도체 칩으로 재설계, 안정성과 수명을 높여 신호 손실도 줄였다. 

여기에 위성탑재체와 지상에서 송수신 할 수 있는 2세대 초소형 위성단말(VSAT) 기술도 개발, 공공기관에 경쟁력 있는 광대역 위성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호진 전파위성연구본부장은 "미국, 일본은 우주통신기술을 활용해 지구 전체의 실시간 정보를 우주적 관점에서 지구시장의 단일화와 선점을 추구하고 있다"며 "우주통신의 특수성을 활용한 우주공간의 클린인터넷화 시장선점 등이 가속화되고 있고 있어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