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승민 박사 "웨어러블 제품부터 대형건물 외벽까지 활용"

빛의 밝기에 따라 변색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광반응 전기변색 투명 종이. (빛이 강하면 어둡게 하여 빛을 조금만 통과시키고, 빛이 약할때는 전부 통과시키는 개념을 설명하는 그림)<그림=기계연 제공>.
빛의 밝기에 따라 변색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광반응 전기변색 투명 종이. (빛이 강하면 어둡게 하여 빛을 조금만 통과시키고, 빛이 약할때는 전부 통과시키는 개념을 설명하는 그림)<그림=기계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유연하면서도 휴대가 가능한 광 반응 전기변색 투명 종이를 개발했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현승민 나노응용역학연구실 박사와 한승민 KAIST 교수 공동 연구팀이 빛에 따라 투과 정도를 조절하고 자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투명 종이 개발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광 반응 전기변색 투명 종이는 빛이 강할 때는 검게 변해 빛을 차단하고 빛이 약할 때는 투명하게 변해 빛을 더 많이 받아들이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이 투명 종이는 외부 전력원이 필요하며 투명한 유리로 만들기 때문에 이동성이 떨어졌다. 또 유연한 제품에는 활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나노 셀룰로오스를 이용해 유연한 광 반응 전기변색 투명 종이를 만들었다. 나무에서 추출하는 셀룰로오스는 인체 친화적일 뿐 아니라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나노 수준으로 미세하게 가공해 빛 투과도 99.1%의 투명한 종이를 만들었다. 이 위에 은 나노선과 환원 그래핀 복합체를 아주 얇은 나노 그물망 형태로 만들면 전기가 잘 통하는 투명한 종이가 된다.

이렇게 제작한 투명 종이 위에 독특한 성질을 갖는 텅스텐 산화물을 나노 입자로 코팅했다. 텅스텐 산화물은 배터리처럼 에너지를 저장할 때는 색이 검게 변하고 다시 저장했던 에너지를 사용해 투명해지는 특성이 있다. 외부의 전원 없이도 전기변색이 가능하므로 웨어러블 기기나 아웃도어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투명 종이를 상자 벽면에 부착해 내부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전기변색 효과가 나타나기 전에는 온도가 31% 증가했지만 광 반응에 따라 상자가 검게 변하자 8%밖에 증가하지 않았다.

현승민 박사는 "우리 피부를 빛에 따라 태우는 멜라닌 색소의 작용을 보면서 얻은 아이디어로 기존 전기변색 제품의 휴대성과 유연성 한계를 극복한 기술"이라며 "작게는 웨어러블 제품부터 크게는 대형 건물의 외벽까지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Advanced Materials(IF=19.8)'에 지난 6월 온라인 판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