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모바일 플랫폼 '모바일 플러스' 선보여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공용 기기에서도 안심하고 로그인할 수 있다.(사진 위), 자녀의 app 구매를 부모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아래)<사진=KAIST> )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공용 기기에서도 안심하고 로그인할 수 있다.(사진 위), 자녀의 app 구매를 부모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아래)<사진=KAIST> )
스마트 기기가 다양해지면서 여러대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스마트기기에서 앱을 보다 간편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도 커지고 있지만 현재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 한다.

KAIST(총장 신성철)는 신인식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스마트 기기 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 기술 '모바일 플러스(Mobile Plus)'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기존에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스마트폰에서 이메일을 읽던 중 첨부파일 PDF를 화면이 큰 다른 태블릿에서 열어보고자 할 경우 이 파일을 스마트폰에 저장한 후 SNS 메신저 앱으로 직접 태블릿에 옮기거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업로드한 후 태블릿에서 다시 다운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비해 모바일 플러스는 여러 모바일 기기에서 각각 실행되는 앱들이 하나의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는 가상화 기술이다. 이 가상화 기술은 기존 앱들의 코드를 수정하지 않아도 기능 공유가 가능하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추가 구매 혹은 업데이트 없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앱 종류에 구애받지 않아도 된다.

연구팀은 기술 개발을 위해 기존 단일기기 내에서 동작하던 원격 함수 호출 (Remote Procedure Call) 메커니즘을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 맞게 확장했다. 이를 통해 여러 기기들에 퍼져 있는 기능들이 마치 하나의 기기에서 제공되는 것과 같도록 했다.

원격 함수 호출 (Remote Procedure Call)은 하나의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가 지니고 있는 함수들을 마치 자신이 지니고 있는 로컬 함수인 것처럼 호출할 수 있게 하는 프로세스 간의 통신 기술이다.

연구팀은 Nexus 6 스마트폰 기기와 Nexus 10 태블릿 기기로 앱 마켓에 이미 상용화돼 있는 여러 앱들을 이용해 사용 사례들도 선보였다. 카메라, 센서, 클립보드 등 시스템 기능들 뿐만 아니라 페이스북 로그인, 구글 마켓 결제, PDF 뷰어 등 여러 앱 기능들까지도 성공적으로 공유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공공 장소에 비치된 스마트기기를 이용할 때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로그인한 뒤 사용이 가능하고 자녀가 스마트폰을 이용해 게임 아이템을 결제할 때 부모의 스마트폰에 결제창이 실행되게 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했다.

신 교수는 "모바일 플러스 기술은 스마트홈, 스마트카 기술 등과 함께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며 "스마트폰을 허브로 스마트 가전제품이나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서 다양한 앱들을 보다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하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오상은 박사과정이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지난 6월 21일 미국에서 열린 모바일 컴퓨팅 분야 최고 권위 학술대회 ACM(국제컴퓨터학회) MobiSys에서 논문으로 출간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