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코엑스서 '2017 바이오코리아' 첫 막
백롱민 연구부원장 '디지털 헬스케어 성공' "의미있는 데이터 多 모아야"

"디지털 헬스케어 선두그룹은 아직 없다. 그러나 당장 투자한다해서 뭐가 나올 거라는 보장도 없다. 일단 많은 데이터가 쌓여야한다. 그 속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찾는다면 우리가 선두주자가 될 수 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등 ICT 기술과 의료의 융합으로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의료시장의 관심이 뜨겁다. 이 열기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영찬)이 12일 코엑스에서 첫 막을 연 '2017 바이오코리아'의 국제 컨퍼런스 '4차산업 혁명에서의 디지털 헬스케어'세션의 꽉 찬 자리를 통해서도 그대로 느껴졌다.

 
▲재생의료 ▲글로벌 첨단바이오 등을 주제로 다양한 국제컨퍼런스가 마련된 가운데 이날 열린 '디지털 헬스케어' 세션의 발표자로 나선 백롱민 분당서울대병원 연구부원장은 "안젤리나 졸리가 유방암 가능성이 높은 유전자를 미리 발견하고 제거한 것처럼 디지털 헬스케어가 우리의 질병을 미리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우리의 의료는 아프면 병원 가서 주사맞고 집에 돌아왔다 다시 아프면 또 병원을 찾는 반복적인 시스템이었지만, 디지털 헬스케어는 질병을 미리 예방하고 관리하면서 치료 비용과 환자의 고통을 줄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영국의 의료서비스 NHS가 발표한 말을 인용해 디지털 헬스케어시대가 곧 도래할 것을 강조했다. NHS가 발표한 내용은 '데이터와 기술의 더 나은 사용은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힘이 있으며, 의료비와 같은 짐을 감소시키는 등 새로운 의학과 치료의 발달은 지원해준다'이다.
 
그렇다면 왜 하필 지금 '디지털 헬스케어'일까. 백 연구부원장에 따르면 기술적 진보와 환자참여의 강화 등 문화적 변화로 지금이야말로 정밀의료 및 디지털 헬스케어의 적기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적기인 이유로 현재 4가지(▲많은 데이터를 모으고 분석할 수 있는 고급능력 ▲DNA 분석비용 저하 ▲EMR(전자의무기록),PHR(건강기록시스템) 등 풍부한 소스 ▲스마트폰 등 웨어러블 가정용 건강기기 및 관련 모바일 기술 사용확대)가 적절히 갖춰져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백 연구부원장은 "당장 투자로 성과가 나올 것 같지는 않다"고 분석했다. 맞춤의학과 디지털 헬스케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데이터이기 때문이다. 그는 "일단 데이터가 쌓여야하고 의미 있는 정보들을 찾아야하기에 10여 년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지만 5년 후 즈음에는 데이터로 건강증진과 일부 질환을 해결하는 데는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디지털 헬스케어는 전 세계적으로 선두그룹이 없는 상황이다. 똑같은 출발점에서 시작하고 있으므로 의미 있는 정보들을 분석하고 정리함으로써 우리나라가 선두주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비드 핸슨 호주 e-헬스 리서치 센터 CEO.<사진=김지영 기자>
다비드 핸슨 호주 e-헬스 리서치 센터 CEO.<사진=김지영 기자>
 
심장학을 전공하고 연구해온 다비드 핸슨 호주 e-헬스 리서치 센터 CEO는 호주 연방과학원(CSIRO)이 진행 중인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해 설명했다. 호주 e-헬스 리서치 센터는 CSIRO와 퀸즐랜드 헬스가 합작투자해 만든 회사다.
 
그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케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용어의 통일'이다. 그는 "디지털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여러 정보들과 소스들을 통일하는 것이다. 보건 뿐 아니라 임상이나 리서치 등에서 데이터를 모으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용어를 통일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에 호주는 임상과 임상이 끝난 후 데이터 등을 구분하기 위해 앞에 붙이는 이름을 달리해 구분하기 시작했다. 호주의 IT기업과 의료진들이 보건상 시스템 용어의 올바른 정의를 위해 미팅을 하기도 한다. 그는 "이 같은 작업은 보건의료서비스가 국민 대상으로 진행됐을 때 통합적으로 운영하기 위함"이라며 "우리는 자국내 용어정의를 넘어 미국과 함께 용어 표준화를 위한 논의도 진행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활용 중인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그에 따르면 호주는 땅이 넓어 인구밀집도가 떨어지는 곳은 보건서비스가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눈을 집에서 스크리닝(촬영)해 해당데이터를 도시의 안과의사에게 보내는 시스템을 일부 운영 중이다. 1천명의 환자 눈을 스크리닝했고 그 중 82건의 당뇨케이스를 발견해 도시병원에 방문해 진료토록 했다. 그는 "화상진료를 통해 상당부분 의료비 및 보건비용절감이 가능했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그는 "집에 거주하는 시간이 많은 노령인구의 집 곳곳에 센서를 설치해 노인들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평소 운동이 부족하지는 않은지, 사회활동이 부족하지는 않는지 등을 수치화해 본인과 가족들에게 보여주는 서비스 등을 운영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행사기간동안 바이오코리아는 '글로벌 첨단바이오의약품 기술개발성과 홍보관'을 통해 사업에 참여하는 4개 기업(메디포스트, 신라젠, 제넥신, 코오롱생명과학)의 통합홍보관을 설치한다. 국내 첨단바이오의약품 시장 동향과 기업별 연구개발·임상 진행 현황 및 기술을 홍보하는 등 국내외 참가 기업들 간 비즈니스 교류의 장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바이오 관련 기업 및 연구소 등 부스를 운영해 연구성과를 홍보하고 기술이전 등 네트워킹 교류를 할 예정이다.
 

2017 바이오코리아 개막식 모습.<사진=바이오코리아 사무국 제공>
2017 바이오코리아 개막식 모습.<사진=바이오코리아 사무국 제공>

행사 관계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사진=바이오코리아 사무국 제공>
행사 관계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사진=바이오코리아 사무국 제공>

바이오코리아 행사장 모습.<사진=김지영 기자>
바이오코리아 행사장 모습.<사진=김지영 기자>

서울아산병원 부스에 전시품들.<사진=김지영 기자>
서울아산병원 부스에 전시품들.<사진=김지영 기자>

바이오 관계자들이 행사장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사진=김지영 기자>
바이오 관계자들이 행사장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사진=김지영 기자>

행사장 모습.<사진=김지영 기자>
행사장 모습.<사진=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