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성도 KIST 연구기획조정본부장, CES 2017 참가 후기 인터뷰
10년 후 출연연 존재有無?…"진짜 쓸 수 있는 R&D해야"

하성도 KIST 연구기획본부장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7에 참가했다. 그는 박람회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로 창업한 스타트업을 보며 위협이 아닌 공포를 느꼈다고 말했다. <사진=김지영 기자>
하성도 KIST 연구기획본부장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7에 참가했다. 그는 박람회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로 창업한 스타트업을 보며 위협이 아닌 공포를 느꼈다고 말했다. <사진=김지영 기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7에 수많은 스타트업 기업들이 자신들이 개발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홍보하고 있었다. 세상에서 처음 보는 기술과 참신한 제품들이 쏟아지고, 창업을 하고자 하는 젊은이들로 가득찬 곳이었다. 특히 중국의 진출이 어마어마했다. 한국의 현실을 생각해보면 위협 수준이 아니라 공포였다."
 
지난 5일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7(The International Consumer Electronics Show·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 참가한 하성도 KIST 연구기획조정본부장의 말이다.
 
CES 2017에 참가해 3일 내내 샌드위치 등으로 끼니를 때우며 하루종일 전시장을 누빈 그는 "미래지향적인 기술을 뽐낸 해외 기업에 대한 인상이 강렬했다"고 회상했다. 특히 그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큰 변화와 변혁의 물결 속에 우리나라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하는 걱정이 앞섰다"고 말했다.
 
이미 우리나라를 추월한 듯한 중국기업,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뽐내며 새롭게 시장에 진입한 스타트업의 홍수 속에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CES 2017에 참석한 하 본부장을 통해 직접 보고 느낀 선진국의 미래시장 공략전략과 향후 출연연 역할 등 의견을 들어봤다.

◆ 미래시장 공략전략 한 눈에

CES 2017에는 AI, VR,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등 수많은 제품이 전시됐다. 하 본부장은 증강현실과 AI기술이 접목된 '자율주행자동차'를 인상깊게 봤다. 그는 "미래 자동차가 어떻게 정보를 파악해 운전자에게 전달할 것인지 단편적으로 볼 수 있었다"며 "야간 운전 등을 많이 하는 화물트럭 등에 자율주행기능을 탑재한 기술도 있었는데 미래 자동차의 최신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어 도움이 많이 됐다"고 설명했다.
 
또 하 본부장은 현재 기술을 공개해 선전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미래 전자제품 시장을 공략할 제품들을 놓은 해외부스가 기억에 남는다. 우리나라 기업에 디스플레이 강자 자리를 뺏긴 일본의 소니(SONY) 부스는 그런 면에서 무척 흥미로웠다.
 
그는 "소니가 내놓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인 ‘월디스플레이(WALL DISPLAY)’는 굉장히 고해상도인데다 이어붙인 것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섬세하게 만들어졌다"면서 "이 외에도 입체음향장치와 헤드폰 등 하이엔드(high-end)제품 중 소니 기술이 눈에 띄었다.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잠시 정체기를 겪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재탈환을 위해 미래기술을 고민한 흔적이 굉장하게 느껴졌다"고 말했다.

연구자 출신이기도 한 하 본부장은 박람회에서 증강현실과 AI기술이 접목된 '자율주행자동차'를 인상깊게 봤다.<사진=하성도 본부장 제공>
연구자 출신이기도 한 하 본부장은 박람회에서 증강현실과 AI기술이 접목된 '자율주행자동차'를 인상깊게 봤다.<사진=하성도 본부장 제공>
특히 그는 중국의 기술과 스타트업에 위협을 넘어 공포를 느꼈다. 그는 "전시관 중에 스타트업을 벌집처럼 한데 모아놓은 '유레카 파크'가 있었다. 수많은 스타트업 기업들이 자신들이 개발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홍보하고 있었다"며 "세상에서 처음 보는 기술과 참신한 제품들이 쏟아지고, 창업을 하고자 하는 젊은이들로 가득찬 곳이었다. 한국의 현실을 생각해보면 위협 수준이 아니라 공포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스타트업 참가자 중 상당수가 중국기업이었다. 부스에 나와 있는 사람들이 중국인이 아닐지라도 자세히 보면 실제 오너는 중국인인 경우가 많아 큰 충격이었다"고 덧붙였다.
 
박람회가 끝난 후 그는 숙소에서 동료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한국으로 돌아온 지금도 그 논의는 현재 진행형이다.

그는 "CES 2017에서 보고 느낀 것들을 R&D 정책에 바로 반영하기는 어렵지만 출연연도 R&D를 하는 기관으로서 복지, 건강, 환경, 에너지 등, 사회 각계에서의 기술수요를 얼마나 개발해왔는가를 생각해야 한다"며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가 아닌 진짜 쓰일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바로 출연연이 해야 할 임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고 말했다.
 
◆ "'국민·사회 위한 연구' 출연연 존재 이유"
 
"국가 사회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는 것이 출연연의 역할이다. 논문만 쓰고 끝나는 연구만 해서는 출연연 본연의 임무에 소홀해지게 된다. 국민이 원하는 연구를 하는 일이 우리의 일이고 그것이 출연연이 존재하는 이유다."
 
하성도 본부장은 '출연연이 새로운 도약을 위해 변화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R&D 평가 기준에 논문의 수라는 정량적 기준이 강조되다보니 실제 국가사회 현안문제 해결과 같은 출연연 본연의 임무 보다는 논문의 게재나 연구자의 개인 호기심 충족을 위한 연구가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는 "이제는 본연의 임무로 돌아가 국가와 사회에 도움 되는 연구·개발(R&D)을 하자는 것이다"라며 "지금 변화하지 않으면 10년 후 출연연의 존재를 보장할 수 없다"고 말했다.
 
KIST는 국민이 원하는, 실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는데 공감대를 갖고 5년 전부터 전문연구소 형식으로 기관을 운영 중이다. (뇌과학연구소를 시작으로 의공학연구소, 녹색도시기술연구소, 차세대반도체연구소, 로봇·미디어연구소 등)
 
그는 "(순수 과학 외에)연구자가 자기가 좋아서 하는 연구, 본인의 점수를 위한 연구는 지양해야 한다"며 "논문 수와 비교하면 출연연에 정말 국가 사회적으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원천기술이 얼마나 될까. 이래서는 안 된다. 성공할 확률은 낮더라도 정말 쓸 수 있는 기술, 정말 필요한 기술을 출연연이 연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KIST는 지난해 50주년을 맞아 '2066, Beyond the M.I.R.C.L.E.'이라는 새로운 슬로건을 발표한 바 있다. 미라클은 KIST가 주력할 분야를 말한다. 차세대 반도체(Material), 양자컴퓨팅과 나노 인공신경망모사(Information), 인공지능로봇(Robotics), 스마트 팜과 천연물을 포함한 미래농업혁명(Agriculture),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 네트워크(Carbon), 치매 진단과 바이오닉스(Life), 녹색도시 구현(Environment)에서 앞글자를 따왔다.
 
또 KIST는 지난해부터 융합연구사업(Open Research Program, ORP)을 확대하고 나섰다. 연구비는 KIST가 마련한다. 외부와 내부를 가리지 않고 최고의 연구진을 구성해 시설· 연구 개발비를 지원하는 것이다. 내부 연구자들로도 팀을 구성할 수 있지만 이를 지양하고 잘 할 수 있는 사람이 그 연구를 이끌어가는 새로운 형태다. KIST는 지난해 3월부터 양자컴퓨팅과 나노(인공)신경망 모사기술 개발 등을 ORP형태로 추진 중이다.
 
2017년 새로운 사업을 구상 중이냐는 질문에 그는 "다음에 어떤 연구를 할까 고민도 하지만 현재 추진 중인 연구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연구자가 연구를 더 효율적이고 잘할 수 있도록하는 환경마련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에게 당장 가장 와 닿을 수 있는 사회문제해결형 기술도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KIST는 2013년부터 치매, 녹조, 스마트팜, AI 등 사회문제해결형 과제를 추진해오고 있다.
 
하 본부장의 출연연에 대한 역할과 기대는 분명하다. 국가 위기시 국민이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연구소로서의 KIST가 되길 기대한다. 그의 움직임도 그런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가장 부러워하는 이야기가 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탄저균테러로 시민들이 두려움에 떨고 있을 때 버스를 탄 노인 한 명이 탄저균테러를 고민하자 다른 노인 하나가 '우리에겐 NIH(미국국립보건원)가 있으니 알아서 잘 해결하겠지'했다는 이야기다. AI, 미세먼지, 메르스 사태 등 사회적문제가 발생했을 때 'KIST가 알아서 잘 해결 하겠지'라는 말을 듣는 날도 곧 오지 않을까. 국민들이 원하는 것, 기대하는 것을 하는 것이 출연연의 존재의 이유다. 기업이 하기 어려운 일, 출연연만이 할 수 있는 연구를 통해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소가 되도록 우리가 해야 할 일을 고민하겠다."

"AI, 미세먼지, 메르스 사태 등 사회적문제가 발생했을 때 'KIST가 알아서 잘 해결 하겠지'라는 말을 듣는 날도 곧 오지 않을까. 국민들이 원하는 것, 기대하는 것을 하는 것이 출연연의 존재의 이유다."<사진=김지영 기자>
"AI, 미세먼지, 메르스 사태 등 사회적문제가 발생했을 때 'KIST가 알아서 잘 해결 하겠지'라는 말을 듣는 날도 곧 오지 않을까. 국민들이 원하는 것, 기대하는 것을 하는 것이 출연연의 존재의 이유다."<사진=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