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불안정과 추진제탱크 불량으로 계획 대비 10개월 정도 지연
정부, 국가우주위원회 열고 향후계획 등 확정

한국형발사체 이미지.<사진=대덕넷 DB>
한국형발사체 이미지.<사진=대덕넷 DB>
한국형발사체 시험 발사일정이 2017년 12월에서 2018년 10월로 10개월 미뤄진다. 75톤 엔진의 연소불안정 문제 등 기술적인 해결을 위해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2일 제11회 국가우주위원회(이하 위원회)를 열고 '한국형 발사체 개발 추진현황과 향후계획'과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추진형황' 등을 심의·확정했다고 이날 밝혔다.

위원회는 연구현장과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단의 의견을 수용, 75톤엔진의 기술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형 발사체 시험 발사일정을 예정보다 10개월 미뤄서 2018년 10월로 조정키로 했다. 

한국형발사체 사업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이 2012년 12월 대선 TV토론에서 2025년으로 예정된 달 탐사 시점을 2020년으로 단축하겠다고 공약하면서 한국형 발사체 개발 계획이 기존보다 1년 이상 앞당겨진다. 당초 계획된 시험 발사 일정이었던 2018년 12월을 현 정부 임기 중인 2017년 12월로 1년 앞당겼다.

하지만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나로우주센터에서 75톤급 액체 엔진 연소시험을 하면서 연소불안정이 발견되며 2015년 7월께 개발을 완료하기로 했으나 올해 4월에 마무리 돼 9.5개월이 늦어졌다.

또 시험발사체 1단 추진제탱크도 지난해 8월 제작을 완료키로 했으나 불량이 발생, 11개월이 늦어진 올해 7월에서야 문제들이 해결됐다.

연소불안정과 추진제탱크 불량으로 계획대비 10개월 정도 늦어지면서 항우연은 지난 5월 미래창조과학부에 '계획 대비 일정 지연 현황'에서 '약 10개월 지연될 것'이라고 보고한 바 있다.

당시 항우연은 현재 추진 현황과 시험 발사체 적용 엔진 검토 등 기술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실적인 발사 일정은 2018년 10월께라고 보고 했다. 이번에 위원회가 연기 결정을 하면서 한국형발사체는 초기 예정됐던 일정에 따라 진행 될 전망이다.

또 위원회는 이날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14~40년)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시급성, 경제성, 기술확보 중요도 등을 고려해 200대 중점 기술을 선정했다.

정부는 200대 중점 기술에 대해 현황, 개발주체, 시점, 방법 등 구체적인 확보전략을 마련하고 전문가와 관계부처 의견수렴을 거쳐 내년 2월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한국과 미국한 우주협력도 본격화 된다. 한국의 항우연과 미국의 NASA(미 항공우주청)의 '달 탐사 협력 이행약정' 문안에 대한 합의가 완료돼 조만간 서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후 한국은 달 궤도선 전체 시스템과 탑재체 제작 및 운영을 총괄하고 NASA 심우주지상국으로부터 달 궤도선의 정상 운영에 필요한 통신, 추적, 항법 등을 지원받게 된다.

항우연이 '우주개발진흥법 7조'에 의거 우주개발전문기관으로 지정된다. 이에 따라 항우연은 ▲우주개발 정책 지원 ▲국가우주개발사업 수행과 미래핵심기술 개발 ▲우주산업지원과 육성 ▲국제협력과 우주사고 조사 등에서 법적 지위를 얻게 된다.

최양희 장관은 위원회의를 주재하면서 "가보지 않은 길을 가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었으나 기술적 난제를 하나씩 극복하며 기술력과 경험치를 쌓고 한국형 발사체 개발 성공에 한발 다가선 해였다"고 평가하고 "앞으로 막중한 책임의식을 갖고 완성도 높고 신뢰성 있는 성과를 도출하는데 총력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