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영남대·KIST 공동연구, "전자신호 중첩 통해 양자통신 전송효율 제고" 

(좌)편광이 두 개의 양자점을 가로지르는 방향과 나란한 경우 (H-편광) 각각의 양자점에서 발생된 엑시톤 사이에는 인력형 쌍극자 상호작용이 발생한다. (우)V-편광의 경우 발생된 두 개의 엑시톤들은 서로 결합하지 않는다. <자료=한국연구재단 제공>
(좌)편광이 두 개의 양자점을 가로지르는 방향과 나란한 경우 (H-편광) 각각의 양자점에서 발생된 엑시톤 사이에는 인력형 쌍극자 상호작용이 발생한다. (우)V-편광의 경우 발생된 두 개의 엑시톤들은 서로 결합하지 않는다. <자료=한국연구재단 제공>
양자점 사이의 결합을 기존의 전기가 아닌 빛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나왔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조무제)은 김광석 부산대 교수와 김종수 영남대 교수, 송진동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사가 공동 연구를 통해 이같은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양자점은 자연에 존재하는 원자(H2, O2 등)와 유사하게 두 개의 전자를 결합시킨 인공원자로, 초미세 반도체와 질병진단 시약,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양자점 내 존재하는 서로의 양자상태(전자)들이 중첩돼 있는 현상이 양자 통신의 기본 단위다. 

중첩이 되는 전자 상태의 신호들이 많을 수록 정보 전송 효율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간다. 전자들이 중첩되려면 두 양자점이 나노 크기로 가까이 있어야 한다. 

기존에는 양자점 사이 전자 결합을 전기적 제어 기술로 유도, 강력한 전압을 받은 한 양자점 내 전자 파동이 다른 양자점 전자 파동과 결합해 신호를 중첩시켰다.

그러나 이같은 방법은 양자점 사이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공간에 전기회로를 구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또 전기회로를 이용 시 전압의 방향을 바꿀 수 없어 전자의 정렬 방향도 변경 불가능했다.

이에 연구팀은 편광(전기장의 방향이 일정한 빛) 방향을 통해 인접한 양자점 간 결합을 선택적으로 유도해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는 전기회로의 번거로운 제작공정 없이 전기장을 지닌 빛을 비추는 것만으로도 양자점 내 전자 결합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양자점에 편광을 비추면 엑시톤(한 단위가 된 전자와 정공의 결합체)이 두 양자점에서 각각 생성되며, 생성된 엑시톤은 비춰진 편광의 방향에 따라 배열이 달라진다. 
  
김광석 교수는 "편광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양자점 내 전자의 결합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됐다"며 "더 많은 신호의 중첩이 효율적으로 가능해져, 양자통신·양자컴퓨터 기술을 진보시킬 원천기술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한 일반연구자지원사업을 통해 수행됐으며, 연구성과는 나노분야 국제 학술지인 '나노레터스(Nano Letters)' 12월 14일자에 실렸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