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한 GIST 교수 "나노 소재 신재생 에너지 연구 응용 기대"

저탄소 녹색 에너지원인 수소를 고효율·친환경법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GIST(광주과학기술원·총장 문승현)는 윤명한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주상현 경기대 교수, 곽상규 UNIST(울산과학기술원) 교수 공동 연구팀이 나노 소재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1000℃보다 낮은 약 200℃에서 열화학적 수소 생성에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열화학 수소 생성 기술은 금속산화물과 물의 반응을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차세대 신재생 에너지 기술이다.  그 과정으로 크게 금속산화물과 물이 만나는 수소를 발생하는 '산화 과정'과 산화된 금속산화물에서 산소를 떼어내 수소 생성이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환원 과정'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금속산화물 환원 과정은 반응 온도가 1000℃ 이상으로 높아 금속산화물의 반응 표면적이 열에 의한 감소로 지속적인 수소 생성이 어려워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나노숲 구조체 제작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위)와 전자현미경 사진.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기판의 표면(아랫줄 왼쪽에서 첫 번째) 위에 산화주석 나노선 지지체를 성장시켜 나노숲 구조를 구현(아랫줄 왼쪽 두 번째)하고, 용액공정 기반의 산화철 나노 입자를 균일하게 형성한 금속산화물 나노숲 구조체(아랫줄 왼쪽 세 번째).<사진=GIST제공>
나노숲 구조체 제작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위)와 전자현미경 사진.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기판의 표면(아랫줄 왼쪽에서 첫 번째) 위에 산화주석 나노선 지지체를 성장시켜 나노숲 구조를 구현(아랫줄 왼쪽 두 번째)하고, 용액공정 기반의 산화철 나노 입자를 균일하게 형성한 금속산화물 나노숲 구조체(아랫줄 왼쪽 세 번째).<사진=GIST제공>
연구팀은 산화물의 나노 입자를 균일하게 형성한 '나노숲' 구조를 만들어 반응 표면적을 극대화하고 나노 입자가 덩어리로 변하는 현상을 최소화했다.  그 결과 나노숲 효과로 수소 생성 반응이 일반 평면 나노 구조보다 1.5배 이상 빠르게 진행됨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어 금속산화물에서 산소를 떼어내는 환원 과정에서 필요했던 1000℃ 이상의 고온 열처리 대신 극자외선을 1시간 동안 쬐어주는 '빛+열' 처리를 진행, 약 200℃ 온도의 공정에서도 금속산화물의 나노 구조체 표면이 산소원자와 결함이 가능함을 증명했다.

윤명한 교수는 "이번 연구는 나노 소재 기술과 광 활성화를 접목한 새로운 금속 산화물 환원법을 개발한 것이다"며 "향후 나노 소재를 이용하는 신재생 에너지 생성 연구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 케미스트리 A(Journal of Material Chemistry A)'에 지난 14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