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3일 자 조선일보 사회면에 보도된 서울 은평구 구산동에 위치한 '구산동도서관마을' 기사가 눈길을 끕니다. 이 도서관은 동네 주민들이 직접 만들었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 주민들은 도서관을 짓기 위한 서명운동부터 설계, 예산확보, 운영까지 이어오고 있다고 합니다.

주민들이 직접 만들어낸 도서관에서는 남 눈치를 보지 않고 아이들이 소리 내어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됐다고 합니다. 이렇게 공동체가 만들어낸 공간은 자율성이 보장되는 듯합니다. 이번 구산동 주민의 집결력은 '공동체가 만들어가는 사회'로 거듭나기 위한 작은 움직임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매일경제에서는 나노·바이오 공학 석학인 루크 리 美 UC버클리대 교수의 인터뷰가 게재됐습니다. 그는 한국이 퍼스트 무버가 되기 위한 첫 번째 조건으로 '융합'을 꼽았습니다. 적어도 공대끼리는 하루빨리 융합이 시작돼야 한다고 설명했는데요. 그 가운데 '나만 전문가'라는 생각은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이 지금부터 융합연구 제도를 마련한다면 다른 선진국을 뛰어넘을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루크 리 교수가 기대했습니다. 대덕넷이 선정한 오늘의 뉴스를 전해드립니다.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1. [조선일보]예산 따내고 운영까지…이 도서관 주인은 주민

지난 1일 서울 은평구 구산동. 지하철 6호선 구산역에서 내려 10분 정도를 걸어가자 건물 한 면에 크고 작은 창문 수십 개가 있는 독특한 건물이 눈에 들어왔다. 은평구가 작년 11월 개관한 '구산동도서관마을'이다.

2. [매일경제]"美도 학문간 융합 쉽지 않아…한국, 먼저 벽 부숴라"

"융합이요? 미국도 학문 간 융합이 쉽지 않습니다. 한국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려면 지금이 기회일 수 있습니다." 지난달 초 미국 버클리에 위치한 미국 UC버클리. 차를 타고 정문을 지나 5분 정도 언덕을 올라 도착한 곳은 세계 융합 연구 메카로 불리는 '버클리센서&액추에이터센터(BSAC)'. 이곳에서 나노·바이오 기술 분야 세계적 석학으로 불리는 루크 리 UC버클리 생명공학과 교수(57)를 만났다.

3. [매일경제][기고]'제5차 핵실험'을 막으려면

최근 미국의 북한전문 웹사이트 '38노스'는 북한의 평안북도 동창리 서해 발사장에서 장거리로켓 발사 준비로 의심되는 움직임이 관측됐다고 밝혔다. 북한은 과거에 장거리로켓을 먼저 발사하고 그 후에 핵실험을 강행했지만 올해에는 지난 1월 6일 핵실험을 단행한 데 이어 장거리로켓 발사를 추진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4. [중앙일보]로봇아, 내 돈 불려줄래?

회사원 A씨는 여유자금 2000만원을 투자할 곳을 찾다가 로봇이 자문을 하는 투자 상품이 있다고 해서 호기심이 생겼다. 로봇을 의미하는 '로보(robo)'와 자문 전문가를 의미하는 '어드바이저(advisor)'의 합성어다. '쿼터백 R1'의 경우 분산투자 대상(포트폴리오)을 결정하는 게 사람이 아닌 쿼터백투자자문의 로봇, 정확하게는 컴퓨터프로그램이다.

5. [중앙일보][시론] 바둑 두는 로봇과 애플

2015년 애플사는 여전히 역대 최고의 실적을 보여줬다. 하지만 올 1분기 갑작스러운 성장세 정체를 발표하면서 세계 최고 가치의 기업은 구글이 됐다. 애플 주가는 지난해 중반 이후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하락해 기업 가치의 30%가 사라졌다. 물론 현재도 애플은 글로벌 초우량 기업이며, 당장 매출이 줄어든 것은 아니다.

6. [매일경제]SW까지…차이나 공습

소프트웨어(SW)는 그 나라 정보기술(IT) 경쟁력의 가늠자다. 하드웨어와 달리 SW는 단기간, 속성으로 따라잡을 수 있는 분야가 아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메이드 인 차이나' 경쟁력을 얘기할 때도 "하드웨어는 어떨지 몰라도 SW는 아직 아니다"는 평가를 간단히 내리곤 한다.

7. [한국경제]바닷속에 데이터센터 만드는 MS

데이터센터를 바닷속에 설치하려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의 프로젝트에 탄력이 붙었다. 개인용 컴퓨터 300대 정도의 처리능력을 갖춘 소규모 데이터센터를 바닷속에서 3개월간 가동한 실험에 성공하면서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