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명하달 아닌 '바텀업' 최초사례된 '엑스포공원 재창조'
"건물 올리는게 능사아냐…창조경제 콘텐츠 채워야 한다"

엑스포공원 재창조와 대덕특구 창조경제 전진기지화에 따라 변화될 것으로 보이는 대덕특구 일원의 미래상.
엑스포공원 재창조와 대덕특구 창조경제 전진기지화에 따라 변화될 것으로 보이는 대덕특구 일원의 미래상.

미래과학부와 대전시가 엑스포과학공원 내 IBS 입주와 창조경제 핵심시설 건립 등에 합의하며 과학벨트 사업을 비롯한 대덕특구 전반의 창조경제 전진기지화가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미래부간 MOU의 후속조치로 과학벨트 관련 주요사항을 결정하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가 '과학벨트 거점지구를 엑스포과학공원으로 확대'하는 기본계획을 확정한다.

이어 미래부의 신동·둔곡지구의 개발계획 변경과 토지보상, 대전시의 과학벨트 실시계획 승인이 마무리되는 내년 상반기에는 IBS 본원 및 사이언스센터 조성사업이 첫삽을 뜰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IBS 본원 조성은 쾌적한 연구환경과 시민 접근성이라는 2가지 측면을 고려한 '도심형 사이언스 파크'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IBS 입주안에 따르면 각각 20%와 50%의 건폐율 및 용적율이 적용되는 녹지공원 형태의 연구단지가 될 가능성이 크다.

'과학기술 비즈니스 공간'이 될 사이언스센터는 2016년 완공 예정이다. 대전시는 사이언스센터가 벤처창업 및 기술거래 기관들이 집적화되는 '미래 창조경제의 핵심 거점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컨벤션시설을 비롯해 HD드라마타운 등 가까운 영상센터들과 연계되는 '미디어산업' 공간화의 가능성도 열려 있다.

IBS와 함께 과학벨트 양대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도 내년부터 구축사업이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이온가속기는 2017년까지 부지조성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가속기 건설에 들어간 뒤 2019년 첫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래부와 금번 엑스포과학공원 창조기지화 MOU에 대해 "과학벨트 사업의 정상추진과 해외 우수연구자 유치 활성화"와 "노후화됐던 엑스포과학공원의 시민 활용공간 확대"를 가장 큰 기대효과로 꼽고 있다.

대전시는 특히 시가 건의한 '대덕특구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방안'이 반영될 미래부의 추가사업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미래부는 이번주중 부처 고위관계자가 대전을 직접 방문해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시는 미래부가 추진하게 될 대덕특구 창조기지화 추가사업이 대전시의 국가 신성장 거점화의 전기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장밋빛 전망에도 불구하고 엑스포과학공원 창조기지화 사업은 본격 착수까지 많은 고비를 넘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MOU 체결에도 불구하고 정치권의 부채질 속에 내년 지방선거까지 어떤 형태로든 논란의 불씨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과학벨트 기능지구가 있는 충북과 세종시 등 타지자체가 '대전 몰아주기'라며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는 것도 문제다. 따라서 당장에 9월 시작되는 국회의 내년도 정부예산 심의부터 발목잡기가 재개될 공산이 크다.

외부의 견제와 함께 대전시와 대덕연구현장의 내부적인 고민도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먼저는 이번 사안을 둘러싸고 발생한 과기계-시민여론의 간극을 인정하고 이의 봉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미래부의 공식제안 이후 열린 긴급좌담회와 토론회 등에서는 "과학벨트의 진정한 성공을 위해서는 지역민과의 소통과 합의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시켜준 계기"라는 인식이 확산됐다. 대전 시민사회계와 대덕의 인식차이가 엑스포과학공원이라는 지역적, 문화적, 심리적 경계선상의 문제를 통해 노출됐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일부 참석자들은 "이번 논란을 대전시민과 대덕의 과학기술계가 가까워질 수 있는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엑스포과학공원을 잃게 되는 시민들의 상실감을 출연연 개방 등으로 상쇄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이제 찬반대립에서 벗어나 엑스포과학공원 창조기지화와 과학벨트 사업을 한국의 새 성장엔진으로 만들기 위해 내실을 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엑스포과학공원 활용방안의 아이디어 제공자로 막후에서 사업성사를 위해 동분서주한 것으로 알려진 장순흥 KAIST 교수는 이번 사안이 "중앙정부의 상명하달이 아니라 지방정책의 바텀업을 실현한 최초의 사례"라며 "이제 현장을 잘 아는 대전시와 지역 과기계가 내용을 알차게 채워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대전시 관계자 역시 "예산 1000억, 2000억원을 받았다 못받았다의 문제가 아니다. 건물 하나 올린다고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이라며 "새롭게 창조되는 엑스포과학공원을 시작으로 대덕특구가 창조경제 거점으로 거듭나기 위한 좋은 컨텐츠 개발을 위해 지역사회가 힘을 합쳐야 할 때"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