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기술교류회' 개최…최신 CO₂포집저장 기술 소개
연구소·기업 참석자 북적 "새로운 시장 가능성 확인했다"

"이산화탄소를 지하에 저장한다는데 방법은 무엇인가?"

"천안에서 케미컬신소재를 개발하는 기업인이다. 이온성액체가 CO₂를 흡수하면 점성이 높아진다고 했는데 그럼 고가의 이온성액체를 다시 사용할 수가 없지 않는가?"

"방사성폐기물의 효율적인 분리기술을 개발 중이다. 혹시 세계적으로 방사성 또는 유해성 폐기물 분리에 이온성액체를 활용하는 사례는 없나?"

뜨거운 열기에 강연자도 참석자도 후끈 달아올랐다. 17일 오후 5시 대덕넷 교육장에서 'KISTI 기술교류회'가 개최됐다.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과 전망'을 주제로 열린 이날 교류회는 2015년 탄소배출권거래제 시행이라는 첨예한 사안과 맞물려 각지에서 사전 참가문의가 이어진 만큼 2시간 가량의 본 행사 역시 열띤 강의와 질의응답으로 채워졌다.
 

▲이날 기술교류회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기술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듯 활발한
질의응답이 오고갔다.  
ⓒ2012 HelloDD.com

이온성 액체 이용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 이른바 CCS(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는 지난 5월 국회에서 탄소배출권거래제가 통과된 후 가장 '핫'한 분야로 관심을 끌고 있는 탄소저감 기술이다. 이에 따라 이번 기술교류회에서 발표된 최신 CCS 개발동향과 전망은 이산화탄소 의무감축에 따른 산업계 재편과 신시장 가능성에 주목하는 참석자들에게 관심이 큰 주제였다.

첫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백일현 박사(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가스센터)는 기후변화를 둘러싼 국제적인 대응과 미래 동향에 대해 소개했다.
 

▲백일현 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와
이현주 KIST 박사.
ⓒ2012 HelloDD.com
작년 남아공 더반에서 개최된 UN기후변화회의 내용으로 강연을 시작한 백 박사는 "CCS가 지구촌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온실가스감축사업 즉 CDM(청정개발체제)에 포함돼 그동안 저장과 격리에 그쳤던 이산화탄소가 수익사업이 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말했다. 국제적인 이산화탄소 의무감축 제도가 시행되면 CCS기술을 보유하지 못한 국가는 이 감축량을 채우기 위해 외국에 비용을 들여 이산화탄소를 처리할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최근 CCS기술이 2050년까지 세계 온실가스 저감량의 19%를 담당할 것이라는 시나리오를 발표한 바 있다.

백 박사는 또 "우리나라는 지난 2010년 마련한 국가CCS종합추진계획에 따라 2015년까지 CCS의 실증을 끝내고 202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0%를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경제성 있는 대체에너지가 개발될 때까지 화석에너지 사용은 앞으로도 수십년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상황에서 CCS는 가장 현실성 있는 이산화탄소 저감기술로 부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현주 KIST 박사는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최신 CCS 기술개발 동향에 대해 참석자에게 설명했다. 이 박사는 먼저 이온성액체의 특징에 대해 "극히 낮은 휘발성과 불연성, 높은 이온농도와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갖고 있으며 약간의 구조변화로도 다양하게 성질을 조절할 수 있어 이산화탄소 흡수제로 무궁무진한 적용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설명하고 현재 가장 일반적인 탄소포집 기술 가운데 하나인 아민용액을 중심으로 이산화탄소 흡수제 개발동향을 소개했다.

이 박사는 "그러나 여전히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CCS기술개발은 흡수용량과 속도의 개선 등 극복할 과제가 많다"며 "특히 가장 중요한 난제인 높은 비용을 해결하기 위해 2020년까지 30달러 이하의 저렴한 원천기술을 개발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오는 8월 14일 열리는 3차 KISTI 기술교류회에서는 최성율 KAIST 교수와 권원종 LG화학기술연구원 부장이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CCS 기술동향과 이온성액체 개발현황에 대한 강연에 집중하고 있는 기술교류회
참석자들.
ⓒ2012 HelloDD.com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