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결과 '몰레큘라 셀' 9일자 표지 선정

손상된 세포가 암으로 진행하지 않도록 막는 새로운 매커니즘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발견됐다.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김현경 박사과정생 등이 암을 가장 강력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DNA) 단백질인 p53이 어떤 조건에서 활성화되는지를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포연구에 세계적인 권위를 지닌 과학학술지 '몰레큘라 셀(Molecular Cell·분자세포)' 9일자 표지로 선정됐다. 이번 실험에서 유전체(유전자 전체) 분석 결과 단백질 p53이 RORα(알오알 알파)라는 단백질과 함께 작용한다는 사실이 처음 규명됐다.

유전자 단백질인 p53은 세포의 사멸을 촉진해 손상된 세포가 암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는다. 그러나 생성된 p53은 평소엔 효소에 의해 분해돼 소멸하다가 특정 상황에서만 살아남아 기능을 한다. 백 교수팀은 p53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게 RORα란 단백질이란 사실을 찾아냈다. 이 단백질은 p53이 효소 분해되지 않도록 막아 궁극적으로 암 발생을 억제한다. RORα는 세포가 손상됐을 때 나타나는 또 다른 유전자 단백질이다. 단백질 RORα는 인체 세포가 심각한 손상을 입었을 때 발현이 두드러진다.

백 교수팀은 "RORα 단백질을 통해 암 억제 유전자인 p53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결과로 새로운 암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어 "세포가 손상될 때 유전자 단백질 RORα가 증가하고, RORα가 p53의 분해를 막아 안정적으로 작용하도록 돕는다는 걸 발견하는 등 단백질 RORα의 신호체계를 밝힌데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