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개원 10주년 기념행사서 과학벨트 논란 해명

"기초과학은 정치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쉽게 성과를 도출할 수 없고, 장기적으로 꾸준하게 진행해야 하는 연구 분야입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기초과학의 지원 여부가 논쟁거리가 되게 마련이죠. 때문에 정치적으로 매우 민감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정치도 과학기술발전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18일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박영서) 개원 1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 김창경 교육과학기술부 차관은 최근 불거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선정 논란과 관련한 몇몇 쟁점에 대해 해명했다.

그는 '과학벨트에 과학은 빠지고 정치만 남아있다'는 비판에 대해 "이제는 말할 수 있다. 대덕특구는 기본적으로 기초과학 발전을 표방한다. 이번 과학벨트 지역 선정은 기초과학 지원과 산업화 등을 고려했으며, 외국과 비교해 손색이 없는 배치였다"고 해명했다.

'과학벨트 지역 선정이 '파이 나눠 먹기'가 아니냐'는 문제에 대해서는 "독일의 막스플랑크연구소, 미국의 로렌스버클리연구소 등 세계적인 연구기관을 벤치마킹했다"며 "거점 지역인 대덕을 위주로 지원해 막스플랑크연구소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고, 로렌스버클리연구소의 예산이 5000~6000억원인 점을 감안해 광주 지역에 6000억원을 지원했다"고 답했다.

이명박 정부는 2012년까지 과학벨트 사업을 책임지게 된다. 그렇다면 2013년 이후에는 어떻게 될까. 이에 대해 김 차관은 "내년에서 후년으로 사업을 잘 이어가려면 내년에 수많은 연구원들이 연구 열기로 들썩들썩하고 성과를 내야 한다"며 "그래야 과학기술로 국가를 살리자는데 반대할 사람이 없을 것이고, 연구자 또한 풍족한 연구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과학벨트 사업은 2017년도까지 예정돼 있지만, 이는 일시적이지 않고 영구히 진행될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KISTI에서는 개원 10주년을 맞아 이를 기념하는 행사가 개최돼 우수직원과 우수조직을 포상하는 등 축하의 시간이 이어졌다.

▲'KISTI 개원 10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과학기술계 인사들. ⓒ2011 HelloDD.com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