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융합산업 포럼서 과기인 한 목소리
"구체적 전략으로 나노 전문기업, 전문가 양성해야"

"대전은 과학도시로 유능한 인재들이 많은 지역이다.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문화, 의료관광은 수도권에서 해야 할 산업이다. 고부가가치 소재산업 등 원천산업에 집중해야 한다."

"나노산업 허브를 위해 대전시는 개방형 네트워크를 제시했는데 적절하다. 그러나 대전에는 나노산업허브를 위한 구심점이 없다. 세계 최고의 인프라는 있는데 허브가 없다."

"대전에는 기술을 주도할 수 있는 인재들이 많다. 다만 기존에 제시한 정책들을 보면 비전 중심이다. 소재, 디바이스 등 구체적 기술을 갖고 있는 기업을 키워야 한다."

20일 산·학·연·관 나노관련 전문가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대전시 나노융합산업 육성 포럼'에서 관련분야 과학기술인들이 내놓은 주문들이다.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이날 포럼은 정대환 지식경제부 성장동력과 사무관의 '나노융합 2020 정부 정책', 양승찬 대전시특화산업추진본부장의 '대전시 나노융합산업 육성 발전 전략', 박장우 한밭대학교 교수의 '나노신소재 기술동향' 등의 주제 발표에 이어 나노 전문가들의 토론으로 진행됐다.

정대환 사무관은 "정부에서는 2012년부터 2020년까지 나노융합 사업에 1조35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라면서 "연구개발(R&D)을 넘어 R&BD 중심"이라고 강조했다.

양승찬 본부장은 대전시의 나노융합산업 육성을 위해 ▲나노융합산업 클러스터 조성 ▲기능성나노소재 사업화 지원센터 건립 ▲기술혁신 네트워크 구축 ▲나노융합 신기술 R&D사업 ▲수요지향형 기술사업화 기반조성 ▲전주기지원 특화된 R&BD프로그램 운영 등 핵심과제 6가지를 제시했다.

주제 발표 후 이정민 대전테크노파크 나노소재센터장을 좌장으로 열린 토론에서 나노분야 전문가들은 대전시에 구체적인 정책 구축과 집중을 요구했다.

이귀로 KAIST 나노종합팹센터 소장은 "우리나라는 장치제조산업이 장점이다. 반도체, 제철, 조선 등인데 이는 원재료를 가공해 만드는 산업으로 대전지역과는 거리가 멀다"고 말하면서 "이 지역에는 좋은 머리를 가진 인력이 많다. 이들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소재 산업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종우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융합산업화촉진단장은 "정보기술(IT) 산업화는 정부주도로 빠르게 산업화됐는데 나노기술 산업화는 정부과 지방이 협력하는 양상이다. 시기적으로 적절하다"면서 "대전시는 나노관련 세계 최고 인프라를 가지고 있는데 허브가 없다. 허브화를 위한 고민을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정부에서도 전문인력양성과 나노전문기업 육성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대전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략 수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재흥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단장은 "대전시의 기존 정책을 보면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

대전은 기술 분야에 참여할 인재가 어느 지역보다 많은 도시다. 단순히 나노기술이 좋다는 정책보다는 전문기업과 전문가를 키워 대전의 경쟁력을 높여나갈 수 있어야 한다"고 충고했다.

그는 이어 연구자들의 쏠림에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이 단장은 "연구자들의 논문을 보면 흐름이 있다. 최근 열린 고분자학회에 가보니 그래핀 분야 논문이 다수였다"면서 "나노산업은 유행이 아닌 꼭 가져야 할 기술이다. 정부도 10년, 20년 꾸준히 지원해 세계적으로 내세울 수 있는 전문가 집단 양성에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이정민 나노소재센터장은 "화학연에서 정년퇴임 후 대전지역 기업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대전 지역이 부자도시가 되길 바란다"면서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구체적인 지역산업 발전 전략과 함께 공직자가 사명의식을 가지고 지역 혁신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나노관련 전문가와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나노융합산업 육성 발전전략
포럼이 진행됐다.
ⓒ2011 HelloDD.com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